전출처 : 이누아 > 불편하게 읽다
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2학년 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입문]을 읽고서 심한 충격에 휩싸여 그날부터 얼마간 친구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방어기제의 하나로 파악하기 시작했다. 정말 신기했다. 어떻게 이렇게 딱딱 들어맞는가...그러다 말았다. 내가 뭐하는 짓인가 싶었다. 사람은 안 보이고 방어기제만 보였던 것이다. 

읽는 내내 불편함을 느꼈다.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택한 정신분석이나 여행은 저자에게 유익했을 것이고, 권할 만한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저자의 사람에 대한 태도는 내가 처음 프로이드를 만났을 때와 별로 다르지 않다. 심리적 안정을 얻기 위해 자신에게 기대려고 하는 의존적인 인간에게 내가 좀 차갑게 해도 괜찮다. 왜냐하면 그건 내 잘못이 아니고 그가 성인인데도 의존성을 벗어나지 못한 사람이니까. 저 사람은 친절하구나, 심리적으로 무엇을 보상받으려고 저러는 것일까? 하고 생각하는 태도.

저자가 인용한 게슈탈트의 말처럼 "우리가 남에게 보이는 관심이란 대체로 방어의식이거나 시기심이거나 의존성이거나 투사의 감정 중 하나이기 십상"(p.141)이지만 그런 것이 하나도 없는 "감정의 동요 없이 수용"할 수 있는 것이란 과연 어떤 상태인가? 이런 상태를 용기라고 표현하지만 그렇게 단순할까? 저자가 인용한 "혼자 있기"를 보자. 세상으로부터 스스로 격리된 극단적인 방어의식 또는 독립된 인격체로서 분리와 개별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상태 둘 중의 하나만일 수 있을까? 태어나서 3년 안에 완벽한 보살핌과 완벽한 조건에서 자란 사람이 없을진대 어떻게...? 아마 저자처럼 정신분석을 받고 나면 좀 덜할지는 모르겠다. 내가 그걸 안 받아봤으니...

저자는 이 심리여행을 통해서 남의 말이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타인의 어떤 말이나 행동은 전적으로 그들 내면에 있는 것이며, 무엇보다 인간은 타인의 언행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 존엄성을 타고난 존재라 믿게 되었다(p.294)"고 한다. 남의 말이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게 된 것이 타인만의 문제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태도는 이 책의 일관된 태도로 내내 나를 불편하게 한 것이지만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이야기는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 존엄성이란 자기 존재에 대한 사랑 때문에 훼손될 수 없는 것이 아닐까...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될지 모를 때, 타인이 자신의 삶에 너무 간섭한다고 느낄 때, 부질없는 일에 분노하고 있을 때 , 혼자서는 도저히 아무 것도 못할 때 자신을 한번 분석해 보는 데는 유익하다. 그러나 너무 심하게 남을 분석하지는 말기를. 행여 아파하는 사람이 안 보이고 아파하는 이유만 보일지도 모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