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마태우스 > 역시 길은 로또에...
서른살 경제학 - 30대를 위한 생존 경제학 강의
유병률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서른살은 경제학이 쉬워지기 시작하는 나이라는 겁니다”

<서른살 경제학>의 저자 유병률의 말과 달리, 30대의 끝자락에 와있는 난 경제학이 쉽다고 생각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그렇긴 해도 경제학을 알고픈 마음은 언제나 있었기에, 쉬운 경제학 책만 보면 좋아라고 달려들곤 했었다. 저자는 이 책이 “설렁설렁 읽을 수 있는 책은 절대 아니”라고 하지만, 이 책은 술술 읽혔고, 그렇다고 해서 경제학 책 한권을 뗄 때면 느낄 수 있는 뿌듯함이 덜한 것은 아니었다. 이론이 지겨워질 때면 실물이 나오고, 갑자기 지적 갈증을 느낄 때면 이론이 나오는 재미있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우리나라의 모든 재벌은 총수 1인의 지배하에 있고, 총수는 1%도 안되는 지분으로 계열사 전체를 좌지우지한다’

이렇게 알고 있는 사람이 아마 대부분일거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사람은 거기에 대해 이런 반론을 펼 거다.

“LG는 안그래!”

실체가 없는 구조조정본부가 총수의 명을 받들어 모든 일을 관장하는 삼성과 달리, LG는 지주회사인 (주)LG가 계열사를 지배한다. 구본무 회장 등 총수 일가가 가진 (주)LG의 지분은 51.1%, 이러니 SK처럼 투기자본에 의해 경영권을 위협받을 일도 없고, 삼성처럼 고객 자산을 그룹지배에 이용하는 일도 없다고 한다. 그래서 소버린이 LG를 “기업 소유지배구조 개선의 선구자”라고 극찬하기도 했다나. 이 말을 들으니 LG가 좀 달라 보인다.


책을 통해 알게 된 사실 한가지 더. SK 2세인 최태원 회장은 그룹 총수 중 가방끈이 가장 길단다. “고려대 물리학과를 나와서 미국 시카코대 경제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물리학과를 나온 이유가 뭘까? 선친인 고 최종현 회장의 다음과 같은 말 때문이란다.

“인문.사회과학은 나중에 공부할 수 있어도 자연과학은 젊을 때 해야 한다. 경영을 하려면 자연과학적 논리와 사고방식을 모르면 안된다”

이 구절을 읽고나니 SK도 뭔가 있어 보인다.


‘재테크 책을 읽는 것이 돈 버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 회의적’이라는 저자는 경기 변화를 읽을 줄도 모르면서 재태크에 나서는 것은 “로또와 다를 게 없다”고 말한다. 이 말에는 전적으로 동의하지만, 다음과 같은 저자의 말은 날 울적하게 했다.

“60세 이전에 10억 정도는 벌어 놓아야 안심이 된다...30대에는 목표의 20-30%, 40대 50-70%, 50대 90-100% 정도는 마련해야 한다”

10억이라면 두달 안에 2-3억을 마련해야 하니, 이제 남은 방법은 로또밖에 없다. 근데 그거, 겁나게 안맞더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