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은희경 지음 / 창비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은희경의 작품을 읽었다.    

<유리 가가린의 푸른 별>에서 출판사 사장이 말하듯  

'내 인생에 변수가 거의 없다'는 현실에 부딪혀서일까 등장인물들의 고독이 절절했다.  

아름다움은 과거의 그곳 돌아갈 수 없는 시간에 갇혀 '벽에 걸린 비너스'처럼  

현실의 늙고 추함을 멸시한다.  

<날씨와 생활>에선 <새의 선물>의 어린 나를 발견해서 반갑기도 하고  

어린 B가 여전히 예민하고 무력한 존재라 씁쓸했다. 

 

자기에게서 멀리 떨어져나와 다시 돌아가지 못하고 추억하기만 해야 하는 것이 

거대한 시스템에 갇힌 우리 모습일까.  

캐릭터가 모두 무력하고 고독해서 읽는 내내 기운이 쫙쫙 빠져버리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못하게 하는 흡입력이 있다. 

 

작가의 말에서  

'헛된 힘의 정체는 아마 상투성과 허위일 것이다.'라는  

문장은 지금의 내게 강렬하게 다가오면서도 

내가 은희경 소설을 찾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