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 교양인을 위한 구조주의 강의
우치다 타츠루 지음, 이경덕 옮김 / 갈라파고스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읽은 우치다 아저씨의 두번재 책! 유대문화론을 읽고 그의 글쓰기에 빠져버려서 또 다른 그의 저서를 읽게 되었다.


서문에 밝히듯이 그는 모든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구조주의 입문서를 쓰고 싶었다고 한다. 본인이 철학해설서를 읽으면서 이게 해설서인지 본 저자의 작품이 알 수 없는 그런 난해함이 굉장히 짜증이 났던 모양이다... 나 역시 해설서를 많이 읽는데, 1차 저서는 아무래도 다소 난해하니... 암튼 1차 저서와 2차 저서의 큰 차이를 못 느끼는 책을 만나서 저자가 몹씨도 원망스럽다. 도대체 누굴위한 해설서인가 하는 생각에...


아무튼 정말 쉽다. 그리고 재미있다. 구조주의 철학자들을 다루고 있는데, 특별히 제목에 나오는 구조주의 철학자 말고도 이 철학자들의 뿌리가 되는 마르크스와 소쉬르를 다루어 주는 친절함까지 베푸는 배려심 깊은 책이라고 할까


구조주의 뿌리까지 다루려면 포스트 내용이 굉장히 장황해 질 것 같기에 간단히 구조주의 자들만 다루기로 한다.


저자는 제목의 4인방 그러니깐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을 구조주의 핵심 인물로 본다. 그런 푸코부터 차근차근 그러나 짤막 짤막 짚고 넘어가 보자!


푸코

푸코는 억압에대하여 탐구하였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억압의 계보학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역사 안에 드러나는 억압들, 일부러 배제시킨 것들에 대해 자세히 조사하면서 왜 이러한 배제가 발생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광기, 성등이 모두 그가 찾은 억압의 역사다. 이러한 억압을 하는 이유는 특별히 그것들을 정치적인 것과 관련시키서 특정한 권력을 갖기 위함이다. 우리사회에 일어나는 억압 중에 권력을 위한 것은 없을까? 한번 찾아봐야겠다.


롤랑바르트

언어 안에서 발생하는 규칙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의도적으로 배제된 규칙들 그러나 그 언어생활을 향유하는 사람들은 쉽게 발견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연구했다. 참고로 바르트가 매력적이어서 텍스트의 즐거움을 읽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내린 결론은 어떠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그 언어가 가지는 규칙을 따른다는 것이고, 이것을 저항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규칙들을 의도적으로 깨는 작업이 필요하다!


레비스토르스

이 친구도 쉽지 않은데... 이 친구는 사회구조가 우리의 감정과 논리를 만든다고 말했다. 쉽게 설명하면 개개인이 주체적으로 판단하는 게 아니라 구조에 영향을 받아서 자기도 모르게 판단하고 행동한다는 것! 구조가 악하면 악하게 행동하고 구조가 선하면 선하게 행동한다는 것! 금수저는 금수저 구조에 살기에 금수저처럼 행동하고 흙수저는 흙수저처럼 행동할 수 밖에 없다는 것


라캉

이 친구는 좀더 연구가 필요함... 프로이트를 많이 인용하는데, 인간이란 누구나 오이디푸스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깐 억압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무조건 적으로 억압을 경험한 소위 ' 늦게온 존재'이다. 따라서 자신을 알기 위해서는 이 억압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재생산할 필요가 있다는 것!


저자 서문 처럼 철학이란 결국 보통 사람들의 생활의 모습, 삶의 양태이다. 따라서 철학을 한다는 것은 보통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한다는 것이다. 보통 사람의 삶을 이해하고 싶다. 그래서 철학을 한다. 그런데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런 쉬운 책들이 나에게 참 꿀보다 더 달콤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