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말은 아이의 인생이 된다
아자 부부(박현정, 김용무) 지음 / 사람in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처음 아빠 엄마를 부를 때 감동을 되새겨 본다.

나에게 부모라는 삶을 시작하게 해 준 우리 아이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득담아서

아이에게 하루하루 참 많은 말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아이도 네네~~ 하다가 응응~ 하다가 이젠 대답이 없다.

옹알이 시절부터 아이눈높이에 맞춰 대화하던 엄마의 눈맞춤은 어디로 갔을까?

아이의 결정을 무시하고 엄마의 결정을 주입하고

스스로 해내는 아이를 기다리기 보다 엄마말대로 움직이는 로봇이 되라는 듯

끝없이 잔소리를 늘어놓기 시작한다.

아이는 마음의 귀를 닫고 엄마는 허공에 하염없이 푸념중이다.

잔소리 표현 : 긍정적 대화 = 2:8

긍정적 대화한 칭찬 격려 응원 사랑 그리고 유머가 담긴 대화이다.

선물처럼 다가온 우리 아이에게 좋은 것을 주고 싶은 엄마의 마음을 가득담아

잔소리도 있지만 서로를 존중해주는 다정한 대화를 나누고 싶다면

잔소리 표현을 다소 줄이고 긍정적인 대화 표현 비율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감정을 우선 표현하기보다

나의 욕구가 무엇인지 생각하고 욕구로 인해 나의 감정이 불편함을 이야기하여

감정이 격해지지 않고 서로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특기 아이가 미성숙하기에

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현하는 긍정적인 대화는 아이의 마음에 기초가 되고

부모의 지지를 얻어 하고 싶은 일을 자신감있게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아이 마음의 단단한 심지는 부모의 말속에 들어 있다.

그리고 아이는 부모의 말을 양식삼아 튼튼한 멘탈을 갖고 건강하게 자란다.

아이가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힘들때 영양분이 되는 것은 부모의 긍정적으로 믿고 있다는 그 말이다.

우리 아이 잘하고 있어

넌 할 수 있어

네가 있어 행복해

너는 존재만으로도 충분히 가치가 있어

너의 꿈을 응원해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나 부모를 불러주렴

너의 힘이 되어줄께

우리의 아이가 되어 주어서 고마워

사랑해

긍정의 말은 우리 모두에게 힘이 된다.

내 아이의 미성숙한 면을 보며 잔소리를 늘어놓기보다

아이가 성장한 작은 부분을 찾아서 칭찬해 주는 오늘이 되길 희망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