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을 포기하려는 너에게 - 문제 앞 불안을 떨쳐 내고 ‘수학’할 용기 수학하는 10대
장우석 지음 / 북트리거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역이야말로 다른 영역에서는 전혀 볼수 없는 수학적 사고

연역의 역사는 이토록 치열하고 정직합니다.

수학을 포기하려는 너에게/장우석/북트리거 111p

수학을 포기하려는 나에게 문제 앞 불안을 떨쳐내고 수학할 용기를 주는 책이라는 제목을 읽고 선뜻 책을 펼쳐보았다.

연역적 사고가 필요한 문제들을 접하면서 학창시절 수학을 힘겹게 마주했던 기억이 다시금 떠올랐다.

왜 이렇게 풀어야하는지 연역적 사고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몰랐기에 수학은 나에게 가장 큰 장벽이었다.

숫자를 놓고 대입하기는 쉬우나 왜 이 정답이 나오는지를 역설적으로 증명해내지 못하고 끙끙 대었던 것이다.

이 책을 살펴보면 연역적 사고에 의한 정답추론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저자는 과도한 학습(숙제)이 바람직한 수학 학습을 방해하고 있으며 지금 학생들이 처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1. 능동성과 경이로움 지적호기심이라는 단어가 수학과 무관한 개념이 되어가는 현실

2. 사유의 의미와 가치를 느끼고 그것을 체화하기보다 문제 유형을 암기하고 시간안에 풀어내는 능력이 보상받는 현실

3. 문제 풀이 기계 아니면 엎드려자기 기계로 교실이 점차 양극화되는 현실

수학이라는 학문은 시간을 갖고 생각하면서 풀어나가는 재미가 있어야 한다고 한다.

즉 '수학 고유의 맛'은 자신이 오랜시간 심도있게 고민한 후 해결했을 때 쾌감이 뒤따라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습방법은 기계적으로 문제를 제한 시간안에 풀어내야 하는 것이기에 학습자는 시간에 쫒기고 시간안에 해결하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하고 그리고 생각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기에 다음 문제에서도 허둥지둥한다는 것이다.

수학이라는 학문은 답이 딱 떨어지는 논리가 있기에

생각할 시간을 주어야 하는 학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학이 우리 일상에서 생각하는 힘을 주는 학문이기에

평가나 학습의 방향도 생각하는 시간을 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동대학원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숙명여자고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의 말씀처럼 수학을 생각하는 시간이 주어지고 풀이과정을 스스로 찾아내고 기뻐하는 학습이 되길 희망해 본다.

수학은 정답을 찾는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무작정 문제 풀이만을 따르고 혼자서 수학학습이 어려운 학습자에게

그리고 수학의 논리를 알고 나의 논리를 펼쳐 수학학습을 하고 싶은 학습자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