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1쓰레기 1제로 - 지금 바로 실천하는 101가지 제로 웨이스트
캐서린 켈로그 지음, 박여진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로 웨이스트는 

필요한 것을 줄이고, 

쓸 수 있는 물건은 최대한 재사용하고, 

재활용쓰레기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남은 것은 퇴비 처리함으로써 

쓰레기 매립지로 가는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않는 것이다.

1일 1쓰레기 1제로/ 캐서린켈로그지음 / 박여진옮김 / 현대지성17p



나의 쓰레기부터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해서 협업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는 것까지 우리가 실천해야 할 일들이 상세하게 잘 나와 있는 책이다.

지구를 살리기 위해 내가 무엇부터 실천해 나가야 할까하는 고민을 바로 해결해 준 책이다.

나의 작은 실천은 미약하나 매일 매일 실천해 나간다면 우리 지구의 몸살로 다소 줄여질 것이라는 믿음을 가져본다.

우리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려주고 더불어 실천하는 것이 지구의 건강은 물론 나의 건강을 되찾는 지름길임을 모두에게 만방에 알리는 실천을 해야겠다.

나의 건강에도 문제가 생기고 있다.

나의 무분별한 생활태도는 물론 쓰레기를 만들어 내서 쓰레기병에 걸리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스럽다.

지금 우리는 미세 플라스틱과의 전쟁인 것 같다. 건강한 먹거리를 찾아내기가 어렵다.

오염된 먹거리를 먹고 마시며 조금씩 조금씩 아픈 줄 모르고 병에 걸려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미니멀리즘은 숫자의 개념이 아닌 것을 알게 되었다.

미니멀리즘과 제로 웨이스트의 핵심은 공유라고 한다.

현실을 자각하여 알고, 차고 넘치는 잉여물들을 조금씩 줄이고, 스스로 지금 있는 것에 만족하는 법을 찾는 것이라고 한다. 삶에 유용하고 크나큰 행복을 주는 것들만 추리고 나머지는 없애버리는 것이라고 한다.

나는 아직도 얼마나 많은 것을 욕심내고 채우고 있는지 반성하게 된다.

지금 우리 집에 있는 모든 물건들이 정말 나에게 쓸모있고 필요한 것이던가?

특히 옷과 플라스틱 그릇들을 보면서 내가 얼마나 어리석은 소비를 하고 있는가를 알게 된다.

100%면으로 된 가재손수건을 쓰다가도 귀찮아서 키친타올을 쓰던 날들을 생각해 보니 왠지모를 죄책감이 밀려오기도 한다. 내가 방심한 편리함이 나와 우리의 끊임없는 질병으로 되돌아 온다는 것을 다시한번 뼈저리게 느낀다.

나의 현명한 선택과 소비가 다시한번 더 필요하고 물건의 쓰임이 다할 때까지 퇴비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들을 보니 내가 살아가는데 차고 넘치는 것들이다.


한 가지씩 실천에 옮겨 습관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오늘부터 소비를 줄이고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게 정리정돈하며 쓸모를 만들어 나가보자.

1. 매일 매일 물건을 구매할 때마다 미래의 세상에 투표한다는 마음으로 생각하고 생각하고 생각해서 물건 구입하기

2. 플라스틱 용기 사용 줄이기 -남은음식보관, 퇴비만들기, 물건정리용

3. 천연재료로 된 옷(특히 면옷) 입기, 면행주 사용하기, 면수건사용, 가재손수건(휴지사용자재)사용

4. EM용액 2리터씩 가져와서 빨래, 설거지, 청소에 사용(주민센터에 비치 된것 무료로 이용가능)

5. 자전거, 지하철, 버스 이용하여 탄소줄이기

6. 소비하지 않는 날 늘려가기(물건 사지 않는 날 정하기)

7. 만나는 사람들에게 작은 실천이 중요함을 널리 널리 알리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