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 하버드에 오다 - 1세기 랍비의 지혜가 21세기 우리에게 무엇을 뜻하는가
하비 콕스 지음, 오강남 옮김 / 문예출판사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떻게 성경에 씌인 이야기들을 다 믿을 수 있단 말인가? "믿는 집안"에 시집와서 나름대로 마음을 열고 교회를 따라다니지만 좀처럼 안되는 것이 이것이었는데 하비 콕스의 이 책에서 답을 찾았다.

왜 사람들은 only a story라는 말을 그렇게 자주 쓰며 왜 많은 학생들은 그리고 일반인들도 우리가 오늘 아는 대로의 역사 기록 방식은 오로지 근대에 이르러 계발된 것이라는 사실, 그리고 성경을 포함하여 인류의 정신을 살찌운 문헌들 대부분은 역사물이 아니라 시, 전설, 신화, 무용담 같은 것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는 그것 때문에 고민하고 당황해하는가? 

성경에서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주제의식에는 공감하지만 세부적인 "사실"들을 믿을 수 없는 것이 나만의 고민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해주고 그에 대한 답을 준 것만으로도 이 책은 너무나 훌륭하다. 더구나 나이 많고 권위있는 학자로서, 젊은 학생들이 가진 솔직하다 못해 황당하기까지 한 질문들에 진지하게 함께 탐구해나아갔다는 것이 너무나 멋지다는 생각이 든다.

예수의 부활에 대해  "과연 예수의 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하는 질문.  그리고 또  " 왜 예수가 모든 것을 '상'이나 '갚아주심'이니 하는 말로 표현했을까? 우리의 기도나 가난한 사람을 돕는 것이 정말로 보상을 받로기 위해서인가? 감사를 표하거나 내면의 고뇌를 털어놓기 위해 기도하는 것은 어떤가? 너그러움과 자비의 마음으로 자선을 베푸는 것은 어떤가" 예수가 이런 식으로 말한 것은 내가 남보다 더 좋은 상을 얻게 되리라 기대해도 좋다고 암시하는 것 같이 일종의 이기심에 호소하는 게 아닌가?" 등과 같은 질문들은 항상 내 마음 속에 있지만 차마 손들고 물어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왜 정말 신도들의 기도는 하나같이 기복적이냔 말이다.

이 책을 읽는 동안 혼자서 눈을 빛내며 밑줄을 그었던 적이 수없이 많았다. (비록 독실한 신자들과의 대화에서는 공감을 끌어낼 수 없엇지만) 그리고 또 다른 멋진 신학자를 만날 수 있었는데 바로 디트리히 본회퍼이다. 하비 콕스 역시 그에게 매료되었다고 쓰고 있는데 그는 인간의 나약성이나 절망에 호소하는 그리스도교라면 어떤 형태이든 단호히 반대했다는 것이다.  절망에 빠져서야 비로소 교회에 다니고 믿음이 생겼다고 하는 수많은 증언들 속에서 (그리고 그런 일 당하기 전에 빨리 믿어라는 말까지) 본회퍼의 사상은 너무 쿨하다.  다음엔 이 사람의 책을 읽어볼 작정이다.

책속에 길이있다더니 "예수 하버드에 오다"야말로  어둑어둑하던 내 길에 빛이 된 경우가 아닐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