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돌림 없는 교실 - 아무도 소외되지 않는 교실을 위한 선생님과 아이들의 열린 대화 행복한 육아 16
비비안 거신 팰리 지음, 신은수 옮김 / 샘터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이 갈수록 왕따 따돌림 은둔형외톨이 들이 부각되고 있는 요즘이다.
이런 문제들이 시간이 갈수록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더 심해질 것임은 뻔하다.
사회구조상 인간과 인간의 만남보다는 인간과 기계, 인간과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로 인간관계가 확장되어 갈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학교에서 시작된(아니 엄밀히 말하면 사회적 이슈가 된 것은 학교 폭력이 시작이였으리라.) 외톨이와 왕따의 문제는 군대, 그리고 우리가 생활하는 사회 전반에 독소처럼 퍼져나가 지금도 누군가의 영혼을 망치고 있을만큼 너무나 만연해있고 그리고 너무나 심각한 문제이다.
인간이 인간에게 행하는 이 끔찍한 범죄를 막으려면 우리는 '교육'이라는 제도를 활용할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너무나 답답하다.
'교육'에 몸담고 있으며 수많은 왕따와 따돌림의 문제를 접하면서도 해결하기 너무 힘들어 난감했던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쳐가고 과연 이게 교육으로 해결되는 문제일까? 자꾸 의심하게 된다.
비비언 거신 페일리는 따돌림 없는 교실의 가장 첫번째 규칙이자 유일 무이한 규칙으로
"너랑 안놀아."라고 말하지 않기를 제안한다. 그것도 유치원아이들에게..
이렇게 어린 아이들도  따돌림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도 슬프지만 책 속에서 제시된 교사와의 대화를 보면 도저히 유치원 아이들이라 생각할 수 없을만큼 토론과 대화가 오고 간다는 사실에 더 놀라게 된다.
'너랑 안놀아."라고 말하지 않기와 관련한 찬반 입장들은 그야말로 유치원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나오는 의견들이라 책을 읽으면서도 마치 그 교실에 앉아서 그들의 토론을 보는듯한 느낌이었고 선생님은 유치원 아이들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까지의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하고 있기에 다양한 아이들의 생각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이중구조로 된 책의 구성상 교실의 이야기와 더불어 선생님이 들려주는 책의 이야기도 함께 읽다보면 결국 두가지 이야기가 하나의 결말로 귀결됨을 알수 있다.
이 책속의 선생님처럼 아이들 눈높이에 맞춰 대화를 이끌고, 규칙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때마다 아이들과 소통을 계속한다면 '따돌림 없는 교실'은 결코 먼곳에 있지는 않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