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없는 지식의 쓸모 - 세상을 바꾼 과학자들의 순수학문 예찬
에이브러햄 플렉스너.로버르트 데이크흐라프 지음, 김아림 옮김 / 책세상 / 2020년 4월
평점 :
절판


기초 학문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호기심, 자유, 상상력의 힘에 대해 알려주는 책-

그냥 제목만 들어도 뭔가 있어 보여 선택한 책-

책의 구성은 간단하게 되어 있다-

목차에서 알 수 있듯이 두 명의 저자가

각 장을 맡아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과학과 인문학 분야의 기초 연구를 선도하는

세계적 연구기관으로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를 설립한

"에이브러햄 플렉스너"의 "내일의 세계"라는 장의

이야기가 먼저 시작된다-

처음에는 책이 잘못되었나 생각되었다-

하지만 구성이 그렇게 되어있었다-

기초연구의 중요성과 내일의 세계에는

현재 진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

대부분 진실이 아닐 거라는 문장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

기초 학문에 대한 연구를 왜 권장해야 하며

지적 호기심을 가진 연구자를 육성하고

지원해 줘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었고

나 역시 실용적인 것만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과

기초 학문 연구의 중요성에 깊은 공감이 갔다-

모든 연구는 실용적이지 않더라고

그것이 좋아서 연구하는 분들이 계시기에

그런 연구의 결과의 퍼즐을 누군가 맞추어

진정한 실용적인 결과로 나온다는 것을 알았다-

현 프린스턴 고등 연구소 소장인

"로 바르트 데이스 흐라프"의

"쓸모없는 지식의 쓸모"에서도

동일한 내용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실용적인 연구에 대한 압박과

예산을 따내기 위해 진행하는 연구와 논문들..

거기에 기초 연구를 위한 지원은

현재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줄어들고 있는 현실에 대한 이야기..

박사과정 학생이라는 학교에서의 역할과

회사에서 정부 예산 R&D 과제 수행을 위한

중소기업들과 협업하며 진행하는 계획서 작성..

나의 일련의 일상들과 맞물려

연구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갖게 한 책이었다-

나도 억만장자가 되면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과

실용적이지 않더라고 연구를 즐거워 매진하는

천재들에게 아낌없는 후원을 해주고 싶다-

작지만 알차고 단숨에 읽어 내려갈 수 있는

나의 지적 수준을 높여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