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미술관 - 캔버스에 투영된 과학의 뮤즈
전창림 외 지음 / 어바웃어북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학문을 문과, 이과, 그리고 예체능으로 나누곤 하고, 사람 또한 문과형 인간과 이과형 인간으로 나누면서 서로의 사고방식 차이를 재미삼을 정도로 이런 분류는 사람들의 머릿속에 자리잡고 있다.

왜 이런 얘기를 꺼내는가 하면, 그만큼 문과와 이과는 서로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게 하는, 거리가 있는 학문으로 생각된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다.
그래도 문과와 예체능은 한데 묶이기도 할 정도로 거리감이 없는데 반하여, 문과와 이과는 정반대로 여겨진다.

그래서인지 그동안 나름대로 여러 예술 분야 도서를 읽고 또 살펴봤지만 과학과 미술의 조합은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 이전에는 보지 못한 것 같다.
때문에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는 출간 소식이 보일 때마다 눈길이 가며 ‘대작’ 냄새를 맡을 수 있었고, 과연 각종 추천 도서와 우수 도서 목록에 오르는 시리즈가 되었다.

하지만 의외로 나는 아직까지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를 읽지 않았는데 이번에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 그러니까 <미술관에 간 화학자>, <미술관에 간 화학자 : 두 번째 이야기>, <미술관에 간 수학자>, <미술관에 간 의학자>, 그리고 <미술관에 간 물리학자> 이 다섯 권 중 호응이 좋았던 내용을 묶은 <과학자의 미술관>이 출간되었고, 이 소식을 보고 ‘내가 이 책으로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를 읽으려고 지금가지 안 읽었나보다’ 했다.

<과학자의 미술관>은 단순히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 일부를 묶은 것이 아니라 양장본으로 재탄생 시키면서 디자인과 내용에 더욱 신경을 썼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대표작 <모나리자>를 활용하여 미술작품 안에 숨겨진 과학을 표현한 책 커버만 보아도 알 수 있지만, 그 커버를 벗기면 모습을 드러내는 또 다른 모나리자와 미술관을 옮겨 놓은 듯한 목차를 보며 책 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음을 알 수 있었고, (단권으로 출판된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를 읽지 않았기 때문에 내 눈으로 직접 비교해본 것은 아니지만) 이번에 판형을 키우면서 명화 도판 크기도 키웠으며 책 말미에 있는 ‘History of Science and Art’ 코너도 <과학자의 미술관>에 추가된 부분이라고 하니 내용도 보충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책의 저자들은 화학공학, 수학, 의학, 물리학 등을 전공하고 교수나 의사로 활동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이고, 특히 전창림 교수님은 미술과 화학의 접점을 찾는 일을 꾸준히 해오셨기 때문에 글이 더욱 기대되었다.

책은 프롤로그, ‘화학자의 미술관’, ‘물리학자의 미술관’, ‘수학자의 미술관’, ‘의학자의 미술관’, 특별부록인 History of Science and Art 그리고 작품 찾아보기 순으로 구성되었는데, 화학, 물리학, 수학, 의학 중 미술과 가장 떼어놓을 수 없는 분야는 ‘화학’이 아닐까 싶다.
회화의 주재료인 물감이 화학물질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첫 번째 장은 ‘화학자의 미술관’이고, 화학 작용으로 인한 작품의 변색과 독이 된 물감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여 연금술사와 산소 같은 화학에 대한 이야기와 미술 작품에 분석을 자연스럽게 넘나든다.
‘화학자의 미술관’을 읽으면서는 화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그림 속 상징을 통해서 작품을 이해하는 시간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저자의 미술에 대한 관심과 지식 또한 상당하다는 게 느껴졌다.

다음 장은 ‘물리학자의 미술관’이고, ‘화학자의 미술관’에서 회화를 다루었다면 ‘물리학자의 미술관’에서는 스테인드글라스 작품도 다루고 빅토르 바자렐리, 조지아 오키프, 잭슨 폴록,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처럼 추상적인 미술 작품에 대해서도 다룬다.
그리고 ‘물리학자의 미술관’을 읽으면서는 물리학자가 미술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은 기존에 내가 미술 작품을 보는 것과 이렇게 다르구나를 느낄 수 있었는데, 클로드 모네 그림 속 물결을 보며 파동에 대해 생각하고 수면을 보고는 반사와 투과를 떠올리다니,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내가 미술 작품을 이런 시각으로 볼 기회가 있었을까 싶다.

세 번째 장 ‘수학자의 미술관’을 읽으면서는 원근법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 미술의 기초를 쌓는 데 도움이 되었고, 미술 속 수학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황금비율에 대한 내용도 빠지지 않고 다룬다.
또 유명한 고대 수학자들을 한 점의 그림으로 만날 수 있는 라파엘로 산치오의 작품 <아테네학당>을 현대의 수학자가 지나칠 수 있을리가 없었으니, <아테네학당>을 함께 보며 인류 최초의 여성 수학자 히파티아를 비롯한 고대 수학자들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도 보낼 수 있다.

그리고 ‘물리학자의 미술관’과 ‘수학자의 미술관’ 모두에서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을 다루어서 물리학자와 수학자가 피에트 몬드리안의 작품을 각자 어떻게 보았는지를 비교하는 것도 재미있었다.

마지막 장 ‘의학자의 미술관’을 읽기 전에는 의학과 미술이 이렇게 책이 쓰일 정도로 관련이 있나 싶었지만, 코로나19 이후로 더욱 주목을 받은 페스트(흑사병), 스페인 독감, 에드가 드가와 빈센트 반 고흐 등 많은 예술가들이 즐겼지만 뇌세포를 파괴하고 환각을 일으키는 압생트 같은 익숙한 소재부터 근친혼으로 인한 유전질환인 농축이골증처럼 처음 보는 질병에 대한 지식을 통해 내가 몰랐던 그림의 배경과 예술가에 대해 알아가며 의학 또한 미술 작품과 예술가를 깊이 이해하게 하는 학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술을 마시면 왜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는지, 와인은 건강에 좋다고 하던데 얼마나 마시면 되는지와 같이 독자가 궁금해 할 생활 밀착 의학 정보를 알려주는 건 덤이다.

이렇게 본문이 끝나면 <과학자의 미술관>에 추가된 특별부록인 ‘History of Science and Art’로 간단한 시대별 미술의 특징과 대표 작품 그리고 과학사를 한눈에 정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책은 그림과 사진 자료도 중요한 법이다.
그래서 명화 도판 크기를 키웠다는 소식이 반가웠는데,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운 그림 자료도 여럿에 심지어 두 페이지를 가득 채운 그림 자료도 있었다.
하지만 실제 명화 크기가 워낙 크다보니 책의 한 페이지를 그림으로 가득 채워도 작은 부분까지 속속들이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기도 하고, 사실 일부는 그 이전에 선명도가 아쉬웠지만, 저자가 설명하는 부분을 큰 그림에서 떼어 확대한 부분도로 어느 정도 보완했다.

또한 미술 작품을 보여주는 자료뿐만 아니라 과학 지식을 설명하는 그림과 사진 자료들을 적극 활용해서 특히 사람들이 어려워 하는 물리학과 수학을 이해하도록 도왔다.

<과학자의 미술관>은 과학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미술을 보며 시야를 넓히고 싶고, 또 과학과 미술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고 싶지만 <미술관에 간 지식인> 다섯 권을 다 읽기에는 부담스러운 독자에게 좋은 선택지가 되어줄 것이다.
그리고 <미술관에 간 지식인> 시리즈를 이미 읽었어도 이렇게 예술적인 디자인에 튼튼한 양장본으로 과학과 미술, 이 두 분야 융합의 결정체를 소장하고 싶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리뷰는 서평단으로 지원하여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