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특이하고 재미있는 책을 만났습니다. 처음에는 쉽게 쓴 수학 개론서 같은 책일 줄 알고 책을 폈는데 아래 사진들과 같은 문제가 22개 실려 있는 책이었습니다.

수학 문제집이라고는 할 수 없고 그야말로 사고력을 키울 수 있고 수학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책입니다. IQ테스트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하고요.

문제를 보고 직관적이고 상식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알 듯 말 듯 고개를 갸웃하게 됩니다. 그런데 해설을 읽어보며 학창시절 배웠던 공식들을 떠올려보면 거의 이해가 됩니다.

3개의 정사각형 모양의 초콜릿이 있는데 큰 것 1개 혹은 작은 것 2개를 가질 수 있다면 어떤 것을 고를까요?

왠지 정사각형 세 개를 보니 직각 삼각형을 만들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자동적으로 드는군요. 정답은 스포일러가 될까 해서 쓰진 않을게요.

한 지점에서 각각 다른 지점까지 어느 길이 더 가까울까요?



정사각형으로 모듈화하여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 것 같습니다. 우리가 어떤 곳에 갈 때 이 길로 갈까 저 길로 갈까 고민할 때가 있는데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가까운 길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좀 멀어도 그 길이 맘에 들면 더 마음에 드는 길로 가겠지만요.

존과 메리 중 누가 키가 더 클까요? 아마 이 사진만으로는 답을 구할 수가 없을 거예요. 일단 힌트는 두 대상을 직접 비교할 수 없을 때는 비교할 수 있는 공통 부분을 찾는다는 거예요.




이건 수학에서 '연비'를 구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인 것 같아요. 예를 들어, A와 B의 몸무게의 비가 5:4, B와 C의 몸무게의 비가 3:2라고 한다면 B가 공통으로 들어가니 최소공배수를 만들어 A:B:C의 연비를 구해낼 수가 있는 것처럼요.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 되는 아이들이라면 간단한 원리를 설명해 주면 즐겁게 풀 수 있을 것 같고요, 어른들은 평소에 전혀 안 쓰던 두뇌의 부분을 사용하며 치매 예방을 할 수 있는 유쾌한 책인 것 같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