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천문학 이야기 멋진 이야기
맬컴 크로프트 지음, 데이미언 웨그힐 그림, 김아림 옮김 / 그린북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알면 알수록 신비로운 우주의 세계

별의 탄생과 죽음

별을 볼 수 있는 망원경~~

우주에 관련된 여러 이야기들과

망원경 같은 장비가 없어도 우주를 관찰할 수 있는 방법 등

둥근하늘의 궁금증을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아

읽게된 그린북의 [멋진 천문학 이야기]입니다~~

표지에 여러가지 재미있는 그림들이 책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책의 내용이 무지 무지 궁금했어요~~



 

차례를 보면

밤하늘을 관찰하는 방법

나만의 로켓이나 태양계 만들어 보는 방법

우주 비행사가 되는 방법

우주의 여러가지 소소한 이야기들



 

인공위성과 우주 쓰레기

별의 탄생

블랙홀

천문학의 미래

우주의 또 다른 생명체

우주의 관련한 소소하고 재미있는 이야기 들이 가득 들어 있음을 알 수 있어요~~



 

밤하늘의 별을 어떻게 관찰해야 할까요?

1 밤하늘 관찰하기'

2 쌍안경이나 망원경 구입하기

3 천문학에 대해 더 공부하기

4 자신이 사는 지역의 천문학 동호회에 가입하기



 

우주는 놀라운 것들로 가득해요

우주에 관련된 물리학을 전체적으로 다루는 과학의 한 분야가 천문학이죠

혜성 별 별똥별 달 행성 은하 성운 태양 은하수 오로라

하늘을 관찰할 때 볼 수 있는사물들이여요~~



 

우주에 여기저기 흩어진 별과 행성, 은하를 들여다보는 데 관심을

태양계를 만들어 표현해 볼 수 도 있어요



준비물에 200간 이상 휴지가 필요한데요

엄마에게 허락 받기도 적혀 있네요

말없이 새 휴지를 가지고 한다면 엄마입장에서는 당연히 화가 나죠 ㅋㅋㅋ

맨 앞에 태양을 표시하고

행성들을 두루마리 휴지칸에 표시하고

행성 인쇄물을 붙여서 만드는 것인데

행성들의 거리를 이해하는데 좋을 것 같아요~~



천문학자가 되고 싶은데 근사하고 값비싼 장비가 없어도

바로 눈앞에 있는 도구가 최고의 장비가 될 수 있다고 해요

 

 

이렇게 손을 이용해서 우주에 대란 지식을 얻을 수 있어요

밤하늘에서 길을 찾는 데 필수적인 가술이라고 할 수 있어요~~



 

우주비행상의 수요는 화성 이주 프로그램이 눈앞에 닥치면서

2014년에는 그 어느때보다 높았다고 해요

앞으로는 더 그럴거고요



 

NASA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지원자들 가운데서 우주 비행사를 뽑는데요

매년 수천명의 지원자들이 모여들고요

그 가운데 선발되는 수는 무척 드물지만

공학 생물학 물리학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아야 하고

석사나 박사 학위를 받는 것도 바람직 하데요

시험비행 경험은 피수라네요~~

그리고 신체 검사도 통과해야 하고요

 쉽지는 않겠지만 많은 아이들이 꿈꾸고 도전해서

한국에도 우주 비행사가 많으면 좋겠어요~~



처음으로 하늘을 관할한 사람은 누구 일까요?

천문학의 기록은 메소포타미아의 기록에서 찾을 수 있어요

현대적으로 정확하게 과학을 수행하려는 것은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이래요

기원전 1300년경 만들어진 중국의 달력이 가장 최초래요~~

우리 아시아인들이 천문학의 시작은 먼저네요~~ ㅋㅋ



 

나만의 운석 구덩이 만들기도 있어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들로 해볼 수 있어 좋은것 같아요~~



 

쓰레기 문제는 우주도 마찬가지같아요

NASA에 따르면 현재 레지저로 탐지할 수 있는 것만

2만 3천여개의 우주 쓰레기가 있데요

생각보다 많은 것 같아요~~



 

천문학자들은 일년내내 불꽃놀이를 즐길 수 있어요

유성과 유성군이 있으니까요



 

유성군의 이름은 그것이 보이는 별자리에서 따오는 거래요~~



 

우주에는 또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요?



 

생명체가 살 수 있을 만한 새로운 행성들이 발견되면서

앞으로 수십년 안에 이 중요한 질문에 대해 답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데요


 

 

천문학에 대해 알 수 있는 웹사이트와 트위터를 소개하고 있어요


천문학에 입문할때 보면 좋은책 같아요

우주에 관한 여러가지를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어

천문학에 더욱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

그린북의 [멋진 천문학 이야기] 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