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준식의 생각
서준식 지음 / 야간비행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에 대해 무언가 끼적거리고자 하는 지금도 나에겐 어떤 불편함 같은 게 남아 있다. 그것은 내가 몇몇의 지인들을 만날 때마다 느끼게 되는 모종의 감정과 유사한 종류일 것이다. 말하자면 실천가, 운동가들 앞에서 느끼게 되는 부끄러움이나 숙연함, 혹은 부채의식이 그러한 불편함의 정체일 것이다. 서준식의 글을 속독할 수 없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그의 글 속엔 그가 살아온 이력이, 그가 몸담고 있는 인권운동이, 그의 올곧은 실천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입과 머리로써만 진보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손과 발로써, 결국 자신의 몸으로써 진보를 '증명하는' 사람에게 엄숙함을 느끼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의 글은 따라서 경건함으로 읽어내려야 한다. 또박또박 천천히 그의 글을, 아니 그가 글로써 대신 이야기하는 '실천'을 읽어내려야 한다. 읽음의 과정에서 만약 마음 한구석이 뻐근해짐을 느낀다면, 그 정도의 불편함은 '고맙게'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어차피 불편함을 느끼는 것 말고는 자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란 게 아무것도 없는, 나 같은 사람이라면 말이다.

'인간의 권리'라는 보편타당한 명제는 지독히도 오염된 말이 되고야 말았다. 제국은 자신의 노골적 패권주의를 치장하기 위해 누구보다 먼저 '인권'을 차용한다. 고용허가제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눈에는 외국인노동자들의 인권이란 결코 한국인의 그것과 등가가 될 수 없다. 장애인들의 인권은 '마땅히 보장되어야 할 무엇'으로 인식되는 게 아니라, 사회의 어떤 시혜의 논리가 개입되어야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인권이 자신이 태생하던 당시에 지녔던 한정적 의미에서 아직 탈피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당시의 인권이 '남자'와 '부르주아'들만의 것이었다면, 지금의 인권 역시 '가진 자'들과 '힘 있는 자'들만의 인권으로 한정되어 있다. 응당 '보편타당'한 것이어야 할 인권은 '자본의 논리'와 '정치의 논리'에 의해 침범당하고 능욕당하고 있다. 인권을 강간하는 세상에서 '가치중립적 인권'을 말하는 일은 결과적으로 추상적 관념 속에서만 가능한 일. 따라서 서준식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적용되는 인간의 권리'를 구현하기 위해 '계급의 문제'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다.

가치중립적이란 말은 듣기에는 좋은 '당의'일지 모르지만, 그 당의를 걷어내면 현실의 냉혹한 역학관계가 엄존하기 때문이다. '사회구조의 문제에 육박하지 않고', '변혁을 꿈꾸지 않'는 인권이 반쪽짜리 인권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인권은 계급의 문제를 고민함으로써 진정한 의미에서의 '보편성'에 접근할 수 있고, 변혁에의 희망은 '인권'을 고민함으로써 '구체적 인간'에 대한 감수성의 끈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엄격한 '원칙주의자'로서의 서준식이 내가 가진 천박한 '실용주의'와 때때로 충돌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가 한총련 간부들에게 감옥에 감으로써 권력과 당당하게 맞대응할 것을 주문할 때, 또 지난 월드컵 시기의 '붉은 악마' 현상을 두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신장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이라 질타할 때... 난 불편하다. 그가 말하는 '원칙'들은 분명 존경받아야 마땅한 것이지만, 그의 원칙을 제 삶의 원칙으로 고스란히 전화시킬 수 있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도 우리들의 분명한 현실이기 때문이다. '원칙주의자'라는 말이 '낭만주의자'나 '비현실주의자'와 혼용되고 있는 요즘, 그에게 '원칙주의'라는 말을 부여하기가 조심스러운 게 사실이다.

그러나 부정적 뉘앙스를 제거하고 말한다면, 그의 원칙주의는 우리에게 가장 근본적인 차원에서의 지침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매우 소중하고 엄숙한 것이지만, 바로 그러하기에 개개인들의 구체적 삶의 표본이 되기에는 너무 무겁고 커다란 것 같다. 결국 이 책을 읽는 동안 내가 받았던 불편함이란 서준식이라는 한 '활동가' 앞에서 느끼는 부채의식, 그리고 그가 제시하는 원칙을 (실천적으로) 추종하지 못하는 나 자신의 나약함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이 책은, 반어적인 의미에서, 다시는 읽고 싶지 않은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