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잠 처방전 - 잠 못 자는 우리 아이를 위한
샤론 무어 지음, 함현주 옮김 / 유월사일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관심이 갔던 것은, 우리 아이의 생활 습관 중 특히 잠을 제대로 못 잔다는거..

원래 못 자는 아이는 없겠지. 뭔가 생활 습관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기에

늦게 재워도도 몇번씩 일찍도 깨워보고 밖에서 3-4시간씩 뛰어놀게도 해 보았는데..

참 안고쳐 진다는 것과, 아이가 자면서도 많이 뒤척이기도 해요.

근데 무엇보다 일단 아빠의 퇴근이 늦어서 그 패턴에 맞추니 아이도 계속 늦어지고

그게 벌써 몇 년이 쌓이니 아이도 엄마아빠도 늦게자는 습관이 안 좋은 것 같아요.

책을 보자마자 앞 표지에 " 잠이 아이의 미래를 결정한다 " 라고 써있는데,

저에게는 아주 의미심장한 말이었죠.

어떻게든 책을 통해 잠버릇을 고쳐봐야겠다 싶은 생각이 솟아나며 책을 집중해서 읽어보았어요.

아이가 잠을 제대로 못 자면 모든 능력에 악영향을 받는 것 같아요.

잠자는 데 방해를 받으면 잠을 자는 동안에 뇌도 쉬게 되고 회복하고 있는 중인데 그것이 방해 받게 되고.

아이가 잠을 못 자면 부모도 잠을 잘 수가 없겠죠. 그럼 결국 부모도 모자란 잠으로 인해 참을성이 없어져 육아에도 문제가 생기게 되는 악순환이 되는 것 같아요.

저도 아이가 잠들고 나면 못 했던 일들을 늦은 밤이나 새벽에 하게 되는데, 그게 항상 아이가 11시쯤 잠이 들면 그제야 새벽1-2시에 엄마시간을 가지기에 저도 늦게 자게 되는 것 같아요,

결국은 전체적인 잠이 모자라기에 항상 아침에는 멍~하니 깨는 느낌이거든요.

그러니 짜증도 많이나고 당연히 몸도 무겁고 피곤한 상태인가봐요.

책을 보니 아이들이 잠을 못자도,,

특히 아이가 코를 골고, 숨소리가 크고, 밤에 자주 깨는 등의 징후가 있어도 부모들은 이를

정상적인 상태라고 생각하는 데 이 점이 문제를 더 크게 만든다고 합니다.

이런 징후들은 정상이 아니며 흔히 나타날 순 있어도 결코 정상적인 상태라고 볼 수 었는 것이,

일단 코골이를 보면 코골이는 뇌로 공기 즉, 산소가 전달되지 않도록 목구멍을 마개로 막는 것과 같은데

코콜이는 행동, 학습, 감정에 영향을 줍니다.

코를 고는 아이는 온순하고 보육 기관이나 학교에서 잘 지내더라도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느낍니다.

연구에 따르면 코를 고는 아이들은 지능 검사에서 평균보다10점 정도 낮은 점수를 보인다고 합니다.

아이가 코를 킁킁거리거나 콧바람을 내는 모습이 귀엽게 보일 수도 있지만

그런 행동이 아이에게 실제로 지속적이고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이죠.

어쨋거나 이런 수면 문제가 있는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피로감과 힘겨움은

수면 문제가 아이의 몸에 미치는 궁극적인 악영향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거죠.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사회적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수면 문제.

이 책에서는 왜 수면이 중요한가, 어떤 위험 신호를 주의해야 할까,

잠을 잘 자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에 대한 것도 제시해주고 있어요.

수면은 아이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수면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는 것 부터 시작해야하며,

아이는 낮과 밤, 언제나 위험 신호를 보내고 있으니 이런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알아둬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수면을 가지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아이의 수면은 적합한 환경과 일과에 좌우된다는 것은 대부분 알고 있는 생각이지만,

물리적 환경과 정서적 환경을 바꿔야하는데 그것은 사실 일과의 변화만으로도 된다는 것이죠.

혹시 이렇게 아이의 일과와 환경을 바꾸어봤는데도 나아지지 않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아이를 좀 더 깊이봐야하는데 그것은 상기도 문제, 기도문제일지 모르니 도움이 되는 근육치료도 좋다고 합니,

책에 나와있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아이와 함께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 아이의 좋은 수면습관을 위해서 제대로 도움받고 수면이 참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일깨워 준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