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획전시 - 국제사진기획자 양정아의
양정아 지음 / 비엠케이(BMK)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저자는 포트폴리오 리뷰어, 심사위원, 사진 컨설턴트 등으로서

프로젝트를 맡아 국제 사진 기획자로 국내외를 종횡무진 누볐다

<한국인 최초로 주요 국제 행사의 심사위원을 역임>

-세계 유네스코 사진심사위원(2018)

-미국 뉴욕타임스 포트폴리오 리뷰 심사(2015)

-러시아 포토비자 국제사진축제 공모전 심사위원(2010, 2014)

업계에서 20년 이상 활동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났으며

주요 국제 행사의 심사위원으로서

글로벌 현장을 가장 가까이에서 목격하고 경험했다

그 덕분에 사진 예술의 흐름 및 해외 이슈를 빠르게 접할 수 있었고

지금은 세계와 한국을 사진으로 이어주는 행사를 주도하고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봤던 관련 분야의 다른 책들과 차이가 있다

사진을 잘 찍는 노하우와 카메라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저자 개인의 경험과 사진 기획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플로팅 리뷰어는 행사장을 자유롭게 다니며

예술가들에게 작품 피드백과 조언을 해준다

한정된 시간에 더 많은 사진가를 만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훨씬 고된 일이다


저자는 전 세계에서 온 사진가들을 만나 소통했다

그들에게 무엇 하나라도 더 배우려고 했다


동양에서 온 리뷰어가 열심히 피드백을 주는 모습이 신기하게 보였나

해외의 사진가들은 저자에게 피드백을 받기 위해 긴 줄을 서기까지 했다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말을 해야 하며 처음 해보는 일이라서 긴장됐다

그러나 정성과 성의는 언어가 아닌 태도라고 생각한다

언어가 모국어가 아님에도 그러한 태도가 해외 사진가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

이러한 노력 때문인지 이후로 저자는 다양한 해외 사진 행사에 초청받을 수 있었다


대학에서 사진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진을 접하고 독학하며 사진가의 꿈에 도전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진을 전공했든 하지 않았든 그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 있든 자신만의 경험과 이야기가 있기 때문


중요한 것은 바로 자신만의 이야기이다

그 누구도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똑같이 할 수는 없으니까

자신만의 생각이나 경험을 자신만의 이야기로 차별화해서 작품에 녹여내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은 생각보다 세분화되어 있다

크게 다큐멘터리, 순수, 광고, 패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그 안에서도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을 하는 사람들은 추구하는 사진의 목적과 방법이 제각기 다를 수 있다

사진가라면 자신이 선택한 사진의 목적과 비전을 선택하고

이에 맞는 자신만의 스토리와 색깔, 그 누구와도 비교되지 않는 차별화된 강점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사진가들이 사진만 찍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스스로를 알리는 데 정성을 들여야 하는 시대이다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방식으로 공유하는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사진가로서 가장 활용도가 높은 SNS 활동을 신경 써야 한다


사실 요즘은 누구나 SNS를 활동하고 있습니다만

이를 잘 활용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성공한 사진가들은 자신을 홍보하는 데 매우 강하다

다양한 SNS를 누구보다 잘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 작품성은 기본이고 비즈니스 감각까지 갖추고 있다

작가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고 홍보하느냐

자신의 작품을 효과적으로 세상에 노출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SNS에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것 이외에도

사진가로서 사진 작품과 자신의 정보를 전문적으로 공유하는

자신의 이름으로 된 공식 홈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좋다


홈페이지는 사진가가 자기 작품을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최고의 공식적인 장소이다

기획자들은 SNS에서 작품을 보게 되더라도

사진가의 홈페이지에 들어가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