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서의 중심 충청감영 공주 - 공주에 새겨진 조선 역사 이야기 공주가 좋다 2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엮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흔하게 늘 제자리에 있는 것들은 가까운 만큼 오히려 실체와 가치를 알아채기가 더 어렵다

우리 곁의 한결같은 풍경의 가치를 새롭게 깨닫는 방법은 그 역사를 아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한 도시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그 도시를 사랑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국가적인 위기와 재건, 천주교 박해와 동학의 마지막 전투 등

감영 도시로서 감당했던 영광과 고통, 공주의 흥망성쇠를 담았다

공주의 역사를 아는 만큼 눈에 들어올 것이며

그제야 그 실상과 가치를 제대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구려 장수왕의 공세에 밀려 남하한 백제가 갱위강국의 꿈을 이룬 증흥의 왕도

거란이 침략했을 때 고려 왕실이 의탁하고 활동을 잇는 데 역할을 한 곳

임진왜란 당시 파죽지세로 북상하던 일본군의 발목을 잡은 승병이 처음 일어난 곳

나누어진 조정을 이끌며 전쟁을 독려하던 세자 광해군이 머물던 곳

이괄의 난을 피해 인조가 머문 곳

공주는 역사적으로 큰 위기 때마다 그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부흥의 터전이었다

전란의 혼란을 수습하고 백성들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대동법 시행을 촉발한 고장

만민의 평등함을 주장하며 선교에 나섰던 천주교가 거센 탄압을 받았던 박해의 현장

서양과 일본을 물리쳐 나라와 백성을 살리자고 외치던 동학 농민군의 최후의 결전을 벌인 격전지

국권 침탈에 항거하여 무기를 들고일어난 의병의 고장

특히 조선 후기의 공주는 조선을 격동시킨 여러 역사적 사건의 현장이기도 했다

이렇게 치열한 역사의 현장이 되었던 것은

공주가 호서의 중심이자 충청감영이 설치된 명실상부한 지역의 대표 도시였기 때문이다

감영은 도 단위의 광역행정구역을 다스리는 거점 기관이다

감영의 총책임자는 오늘날의 도지사와 비슷하면서 더 폭넓은 권한을 가진 관찰사(감사)였다

백성들이 평안하게 살 수 있는 환경 조성

국가 재정을 충당하기 위한 농업 진흥 & 조세 관리

지역의 인재 육성

치안과 외적을 방어하는 군사 부문의 책임

감찰사는 왕을 대신하여 충청도 일대를 다스리는 지역 최고 책임 자리였다

이러한 관찰사의 업무를 상시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이 바로 감영이었다

관찰사에 의한 지역 통치의 실상을 돌아보면 조선시대 사람들의 삶이 어떠하였을지 가늠해볼 수 있다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공주는 호서지역의 중심지로 삼아 발전해 왔다

특히 임진왜란을 치른 뒤 1603년경 공산성에서 충청감영이 들어선 이후

1932년 대전으로 충청남도청을 옮기기 전까지 300여 년 동안 명실상부한 호서의 수부도시 역할을 해왔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에 커다란 변화를 맞았다

경부선 철도 노선이 공주가 아닌 대전을 지나고

호남선 노선도 공주를 비켜 갔다

도청까지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공주는 차츰 과거의 영광과 번영을 잃었다

이렇게 근대 이후 공주가 맞닥뜨린 급격한 변화 속에서

오늘날에는 공주가 감영 도시였다는 사실조차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