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보물창고 백제왕도 공주 - 웅진백제 발굴 이야기 공주가 좋다 1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엮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땅에서 아무런 기록도 남지 않은 까마득한 시절의 이야기를 발견해내고

기록된 역사의 빈 퍼즐 조각도 찾아내 전체 그림을 맞추곤 한다

발굴은 시간의 강을 거슬러 역사의 실체와 만날 수 있도록 하는 시간여행이라 할 수 있다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시대의 실상을 이해하도록 돕고

부족하거나 유실된 기록으로 인해 그 실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역사도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일제강점기의 식민사학자들에 의해 왜곡되고 축소된 우리 역사를 바로 잡는 과정을 보면

왜곡된 기록에 의해 잘못 전해졌던 역사를 바로 잡는 데도 발굴이 중요한 기준점임을 알 수 있다

책에서는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의 백제에 이르기까지

발굴로 밝혀진 공주의 역사를 소개한다


한국 고고학에서 한획을 긋는 두 가지 발굴이 공주에서 있었다

바로 석장리와 무령왕릉 발굴이 그것이다

석장리 구석기 유적 발굴은 한반도에 구석기 문화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계기가 되었으며

무령왕릉 발굴은 웅진백제의 문화와 위용을 새삼 돌아볼 수 있게 하며 고고학계의 발굴 지침이 새롭게 정비된 기회이었다

무령왕릉은 한국 고고학이 미처 체계를 갖추기 전에 만난 고분이었다

송산리 고분군의 수로 정비 작업을 하다 우연히 발견하였는데

도굴되지 않은 완전한 상태의 수많은 유물, 특히 무덤의 주인을 정확히 명시한 지석까지 출토되는 등

발굴 역사상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지만

한편 발굴과정의 기본도 지키지 못한 졸속 발굴이라는 오명을 함께 남기기도 했다


이 밖에도 여러 장소에서 발굴을 통해 공주의 역사를 하나둘 밝혀왔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백제의 여러 모습을 상상하도록 한다

이 책은 공주에서 있었던 중요한 발굴 이야기들을 모은 것이다


한 챕터가 끝나면 주제와 관련된 부가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예를 들어

백제의 고분뿐만 아니라 고구려와 신라의 고분까지 언급하고

또한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대한 내용도 다룬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과정, 기준, 지정된 유산들에 대한 설명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