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겔 또는 스피노자 ㅣ 프리즘 총서 11
피에르 마슈레 지음, 진태원 옮김 / 이제이북스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근래 스피노자에 관한 관심이 갑자기 높아진 이유는 국내에서 요즘 관심을 집중시키는 몇몇 철학자들이 스피노자의 영향을 받았고 그에 대한 책들이나 논문을 썼다는 점을 들수가 있을것이다. 들뢰즈, 네그리, 그리고 무엇보다도 알튀세가 있을것이다. 난 솔직히 이들이 없었다면 국내에서 과연 스피노자에 대한 약간의 관심이라도 생겼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들뢰즈의 스피노자에 관한 책들은 모두 출판되었고, 네그리의 야만적 별종도 출판되었다. 알튀세의 스피노자에 대한 논문들도 이런 저런 책들속에 끼어져 출판 되었다. 이책은 알튀세의 문하생으로 스피노자 연구에 큰 일익을 담당한 마슈레의 책이다.
난 들뢰즈의 책보다, 그리고 이 책보다 뒤에 발간된 네그리의 책보다 이 책이 스피노자에 더욱 충실한 해석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들뢰즈의 책은 독특하지만 몇가지 점에서 스피노자적이지 못하고-그럼에도 불구하고 들뢰즈는 스피노자주의자이다-네그리의 책은 과도하게 자신의 정치적 견해가 책의 전면을 뒤덮고 있다. 물론 그것이 그 책들의 진가를 훼손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한 철학자를 해석한다는 것은 해석자의 시대와 그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반영할 수 밖에 없다는건 당연하며, 또한 그 해석을 통해 바로 해석자 자신의 철학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 역시 저자의 입장이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겔을 경유해서 해석되어지는 스피노자는 스피노자 자신의 모습을 당당하게 그려나가고 있다는 인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기하학적 방법론에 대한 저자의 간결하고도 분명한 해석은 영미철학에서 해석되어지는 낯설음과 짜증스럼을 충분히 교정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책은 스피노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없이는 읽기가 어렵다는 건 분명하다. 최소한 에티카는 읽은 독자, 그런 후에 스피노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한 책이다. (솔직히 적어도 네그리의 책은 그렇지 않은 독자들도 읽으면서 뭔가를 얻었다는 착각을 가지게 한다.)
마지막으로 번역자의 노력이 눈에 띤다. 들뢰즈의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나 네그리의 '야만적 별종'은 솔직히 그 번역본을 보고 있으면 차라리 원서나 영역본을 읽는 것이 더 이해가 쉬울거 같다는 인상을 버리기가 어렵다. (그리고 번역자들에게는 죄송하지만 솔직히 그러하다.) 반면 이책은 번역자의 노력이 느껴진다. 한편 번역자는 같은 알튀세의 문하에 있었든 발리바르의 스피노자와 정치도 기획하고 있다고 한다. 그 책 역시 스피노자에 관심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보다 많은 프랑스의 스피노자 연구들이 번역되길 기대한다. 적어도 게루의 책들은 아니더라도 마테롱이나 모로 혹은 토젤의 책들도 번역되길 기대한다. 아직 이 책에 대한 평이 없어 간단하게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