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크족 다이어리
곰토 지음 / 지식과감성#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딩크족 다이어리. 읽으면서 정말 남의 다이어리를 보고 있는 듯 한 느낌이었다 마지막 부부툰은 그들의 만남을 그린 웹툰인데 정말 귀여웠다.

머 어쨌든 책 제목 그대로 이 책은 딩크를 선택한 부부의 이야기이다. 읽어보면 나와 우리와 다를게 없는 그들이었는데 왜 딩크를 선택하게 되었는지 딩크에 어울리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는지의 테스트 결과를 자신에게 맞춰 이야기하고 그에 따른 상황들에 대한 대처를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저출산 문제는 심히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그에 비해 저출산에 따른 대비책은 너무나도 약하다. 왜 그들은 아기를 낳지 않는걸까? 우리나라 딩크족 선택의 1위는 자신들의 삶, 부부의 삶을 살기위해(나 자신의 삶)이다. 2위는 난임. 낳고 싶어도 낳지못하는 불임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낳을 수는 있지만 우리의 인생을 즐기고 싶다가 1위이다. 그럼 우리는 왜 아가의 탄생으로 자신들의 삶을 즐기지 못하게 된다고 생각을 할까? 그것도 그럴것이 자신의 하루의 절반이상을 차지하는 직장과 금전적인 이유가 많이 차지할 수 밖에 없다. 자신이 퇴근 후 집으로 돌아와 충전을 해야하지만 아기는 어른의 보살핌이 없으면 안되기때문에 쉬지도 못하고 아기를 돌봐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신의 삶이 희생된다는 생각을 할 수 밖에 없는것이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저출산 대책은 극히 일부분의 해소이고 명확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어디까지 해줘야 낳을 건데라고 묻는다면 그건 그 사람의 자유이지 강요할 일은 아니다.

그런데 그런 선택상황에서 딩크를 선택하면 이상한사람, 흐름에 저항하는 사람, 이기적인사람 등등의 꼬리표를 붙여 사회에서 손가락질까지 받지만 그들의 선택에 우리는 갈채도 비난도 해서는 안된다.

솔직히 나는 스스로가 딩크족을 택한 사람들은 책임감이 강한 사람들이지 절대 이기적인 사람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스스로가 책임을 지지 못한채 태어난 작은 생명체는 아가에게도 부부에게도 좋은 일이 아닌기 때문이다. 요새 뉴스에서 나오는 부모들의 학대, 폭력에 결국 아이가 죽는 기사들을 보면 분노가 치민다. 그 아이들이 무슨 죄를 지었다고 부모에게 그런 대우를 받아야 하는가. 그것은 부모가 자식에게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자가 약자에게 행하는 폭력이나 다름없다. 그런 부모의 책임도 못하는 사람들이 바른걸까? 아니면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딩크를 선택한 사람들이 바른걸까? 그들은 이기주의자가 아니라 개인주의자이다. 자신들의 자유와 남들의 자유까지 인정하는 그런 개인주의자 말이다.

딩크를 선택하며 가장 힘들었을 것은 가족들문제이다. 항상 아픔과 기쁨을 함께 하는 부모님들에게 자신들의 선택을 어떻게 얘기해야할지 고민하는 부분에서 많은 걱정과 공감이 들었다. 결혼전에는 결혼언제할꺼냐는 질문과 결혼을 하면 아이는 언제 갖을 거냐는 질문. 친척들을 오랜만에 만나면 항상 이런 패턴이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은 나와 그리 자주 가깝게 연락을 자주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다. 내 인생의 결정을 남들의 시선에 따라 맞추는건 옳지 않다는건 이성적으로 생각할때 당연하다. 하지만 그걸 견디기는 정말 힘들다.

그리고 회사에서 겪는 고충도 있다. 아기 엄마들은 출산으로 경력이 단절되거나 혹은 승진대열에서 배제되는 상황이 있다라는 것은 우리도 알고 있다. 하지만 아이가 없으면 아이가 있는 직원의 편의를 배려해야 된다고 강요하는 것도 비출산자에게는 고충이다. 자신의 배려가 상대에게는 당연한 것이 되어버리면서 그 괴리는 맘충이라는 단어의 탄생이 된게 아닐까.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있다. 그 만큼 책임감이 따른다는 이야기이다. 그 한 아이가 혼자 일어설 수 있을 때까지 보살피고 가르쳐야 한다. 그런 일을 사회통념에 따라 이래야 된다 저래야 된다로 선택하는 사람들의 판단을 가볍게 이야기할수는 없는 것이다. 비혼자이든, 비출산자이든, 사회의 소수인원들의 삶의 방식에 우리는 간섭이 아닌 이해를 해야한다. 자신들의 삶의 결정은 자신이 제일 고민하고 생각하고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게 그들이 선택한 삶이고 그들이 선택한 인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