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는 거지?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아니면 안 된다.
- 1904년 1월, 카프카, 저자의 말 [변신] 중에서
'어떤 책을 읽기 전과 읽고 난 후의 내 모습이 같은 경우, 그 책은 읽지 않은 것만 못하다.' 라고 했다. 여기에 더불어 카프카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가 되어야 한다고 한다. 저자 박웅현의 [책은 도끼다]를 읽다가 나도 모르게 여러번 머리를 맞은 듯하다. 다시 한 번 나를 돌아보는 계기를 만들었고, 앞으로의 독서의 방향까지도 변화하게 만들어 버렸다.
아직 나에게 독서에 있어서는 양적인 성장이 중요한 것 같다. 그리고 어느 정도 내공이 쌓아지면 그 때는 박웅현 작가처럼 책 한 권 한 권을 꾹꾹 눌러서 읽어야 겠다고 생각했다. 워낙 이런 내용을 강조를 해서 나도 모르게 책을 두번 정도를 훑어보게 했고, A4용지 13장의 발췌를 해서 하나의 파일을 만들게 했다. 아마 이것이 나에게 쌓여갈 독서 발췌록의 시작점인 듯 하다.
[책은 도끼다]를 읽고 난 후, 다음 날 아침 천안으로 가는 출근 버스에 몸을 실었다. 항상 창가 쪽에 앉아가지만 창가는 거의 보지 않고 반쯤 감긴 눈으로 두 손엔 책을 잡고 있다. 그런데 그날 따라 창밖을 보고 싶었다. 그 순간, 우와! 홀로 감탄을 하고 말았다. 붉은 태양이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듯 빛을 사방으로 토하고 있었다. 이에 상응하는 듯, 길가의 내천에는 물안개가 피어오른다. 아침의 물안개가 그렇게 신비스럽고 아름다운 줄 처음 알게 되었다. 아직도 내 머리 속에 이 한 장의 풍경은 아로 새겨져 있는 듯하다.
김훈을 소개하는 글을 보면서 자연과 내 주변의 하나하나 사소한 것에 대한 소중함과 자연에 대한 숭고함 등을 느끼면서 주변에 시선을 돌리고 한 번 더 관심을 가져야 겠다고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관심은 바로 다음 날 이렇게 나에게 다가온 것이다. 하루하루가 소중한 것이었다. 저녁에는 아내와 아들과 포도를 먹었다. 포도를 먹으면서 씨를 뱉어내는데 씨앗이 옅은 색, 붉은 색, 어두운 색 이렇게 세가지 종류가 있는 것이었다. 이게 씨도 그 속에서 세월이 흐르는 구나! 라고 혼자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리고 아내는 씨앗이 사람의 치아 같다고도 한다. 자세히 보니 정말 그렇다. 그 전에는 그냥 포도를 먹고 버려야 하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사소한 관심은 이렇게 아내와의 대화거리가 되고 소소한 행복이 되는 듯 했다.
이러한 종류의 책의 장점이자 단점은 좋은 책들을 마구 풀어내어서 나에게 읽어야 할 책들을 펼쳐 보인 다는 것이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손에 잡고 싶은 것은 고은 시인의 [순간의 꽃]이다. 아직 나는 시에 대한 매력을 잘 알지 못한다. 그래서 거의 시집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아마도 아직은 시를 읽을 내공이 부족한 듯 하다. 그런데 이 시를 한 번 읽고 나니 아주 짧은 몇 자에 불과하지만 너무나 많은 것을 느끼게 만들어버렸다.
방금 도끼에 쪼개어진 장작
속살에
싸락눈 뿌린다
서로 낯설다
짧지만 한 편의 그림이 그려지는 듯하다. 우리의 말이 이렇게 아름다운지 새삼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런 게 바로 시구나! 하는 느낌도 들었다. 그냥 툭툭 던져놓은 듯한 것들이 하나의 그림을 만들고 그것을 상상하고 그냥 살짝 미소짓게 만든다.
이렇게 여러번 나는 머리를 맞은 듯다. 조르바에게도 쿵! 카뮈에게도 쿵! 어쩌면 이 책이 나의 독서 생활에 한 획을 긋는 큰 사건을 만들어내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본다.
'이 사람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책이 사람을 선택한다고 했다.'
마지막 장을 덮고 나니, 나는 선택받은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다시 한 번 고마웠고, 지금 이 순간에 감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