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 -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찾아낸 행복의 조건
조너선 라우시 지음, 김고명 옮김 / 부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
□■저자: 조너선 라우시
□■ 출판사: 부키

☆인생의 슬럼프와 번아웃 탈출을 위한 최고의 필독서
☆심리학, 뇌과학, 경제학이 밝혀낸 놀라운 행복 곡선의 비밀

♧우리의 심리적 안녕감이 40대까지 하락하다가 50대부터 꾸준히 상승한다는 것을 라우시는 다양한 사례와 분야를 망라하는 권위 있는 생애 연구 자료를 근거로 증명한다. 나이가 들면 감사가 한결 쉬워지고 '포기'라는 형벌이 아니라 '내려놓음'의 기쁨을 누리게 된다. 이 책은 40세 이상의 필독서다.
<조지 E.베일런트 /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원 정신의학 교수>



◇∩ 가 아니라 U라고?

청춘은 인생의 절정, 중년은 위기의 시작이며, 노년은 심신이 모두 쇠퇴하는 황혼기라고 여긴다. 인간의 발달 또한 성장-절정-위기-쇠락의 ∩ 모양이란 생각도 사실처럼 통하고 있다.

하지만 브루킹스연구소 수석연구원인 저자는 경제학, 심리학, 뇌과학등의 연구 성과와 300명에 이르는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인생 만족도의 경우 50 이후부터 반등하는 U자 모양이 나타난다고 역설한다. 즉 40대에 최저점을 찍고 반등해 나이 들수록, 특히 50이후부터 오히려 행복도가 더 커지는 것이다.

U자 행복 곡선은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고 있다. 심지어 행복 곡선은 침팬지, 오랑우탄 같은 유인원에게서도 나타난다. 이것은 U자 패턴이 대단히 보편적인 현상일뿐더러 진화 과정에서 우리 유전자에 내장된 것임을 입증해준다.



◇중년의 위기는 없다

모든 걸 이룬 시점에 슬럼프와 번아웃을 겪으며 불안하고 불만족스러운 현상이 나타난다. 우리는 이를 두고 "중년의 위기"라 부른다. 사실 U자 인생 곡선으로 보면 이시기는 "위기"가 아니다 . 너무나 정상적인 인생의 "전환기"이다. 더 나아가 인생이 더욱 행복해지는 쪽으로 반등하는 "리부팅기"이기도 하다.



◇ 중년과 노년 사이의 새로운 인생 단계 출현
"앙코르 성인기"

오늘날 수명이 연장되면서 중년과 노년 사이에 출현한 새로운 인생 단계를 "앙코르 성인기"라 부른다. 이제 60~70대는 풍부한 경험과 숙련된 기술을 보유하고 살아가는 시기, 기족과 지역과 사회에 이바지할 방법을 모색하는 시기이다. 이 "앙코르 성인기"에 우리는 지혜를 통해 인생을 재창조해 나가야 한다.



◇저자는 U자 곡선의 오르막을 "감사가 더 쉬워진다."라는 세단어로 정리했다. 우리의 주관적 안녕을 결정하는 것은 물질적 안녕의 절대적 수준이 아니고, 타인과 비교되는 자신의 상대적 위치조차 아닌 바로 우리가 생각하는 자신의 위치이다. 포기가 아닌 내려놓음..내 위치에서의 감사함이 인생의 행복곡선의 비밀이 아닐까 싶다.

《인생은 왜 50부터 반등하는가》는 행복과 나이 듦에 대한 선입견을 깨고 새로운 관점으로 인생의 길을 바라보게 하는 인생 지침서이다. 혼란스러운 40대를 보내고 있다면 두려움과 불만에서 벗어나 더 행복해지는 인생을 만나게 해 줄 책이 될 것이다.



♡<부키>출판사로부터 도서지원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