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읽지 못할 책은 없다 - 평범한 대학생을 메이지대 교수로 만든 독서법
사이토 다카시 지음, 임해성 옮김 / 21세기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시절 방학이면 항상 책을 한가득 빌려와서 주구장창 책을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주로 소설류를 주로 읽었던 그 시절~ 책 읽는것만큼 편한것도 없었지요

조금 크고 사회생활을 하면서는 자기계발서만 읽었지요
소설을 읽는것은 왠지 시간 낭비인것 같고 자기계발서를 읽고 있어야만 남들에게 뒤처지지않고 왠지 내 자신이 꽤 괜찮은 사람처럼 보였던것 같았어요

그리고 엄마가 된 지금은 육아서만 읽고 있어요
엄마가 되고 나서는 내마음대로 책  한장 보기 힘들어졌기에 잠시라도 시간이 나면 육아서 들추는게 저의 독서의 전부가 되었어요

그런 저의 독서편식을 알고는 있었지만 제일 흔한 핑계인 시간이 없다! 라는 핑계로 어쩔 수 없다! 라고 해명해오던 그런찰나 이 책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세상에 읽지 못할 책은 없다
W. 사이토 다카시


사실 둘째가 어린이집을 가면서 조금씩 시간이 생겼는데 그 시간이 어찌나 잘 가는지 여전히 바쁜일상을 보내고 있어요 그래도 예전과는 달리 책 볼시간도 생기고 (비록 집안일을 미뤄둘지언정 ㅋㅋㅋ) 이렇게 책을 보고 서평을 써 볼 시간도 생겼네요 서평을 쓰면서 좋은점은 책 내용을 다시한번 곱씹어 볼수 있는점 같아요 이렇게 글로 정리하고 나면 머릿속에 좀 더 오래 남아지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다양한 독서법이 있음을 알려주고 있고 완독보다는 다독을 권하고 있습니다 책한권을 읽으면 끝까지 봐야한다는 고정관념에 어쩌면 책을 더 멀리하게 된다고 볼 수 있을만큼 보고 어렵거나 재미가 없다면 과감히 다른책을 보아도 괜찮다고 조금은 여유로운 독서법을 권하며 시간이 없다 멀리하지 말고 습관적으로 계속 책을 보라고 말합니다

독서에 대한 기존 고정관념을 깨는  저자의 신선한 발언이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여러권의 책을 함께 읽는다는 것이나 소설류는 대화체만 읽는다는것 두꺼운책은 몇장씩 찢어서 들고다니며 읽으라는 조언들은 기존에 제가 생각해보지 못했던 독서법이였습니다.

특히 저자는 크게 2가지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책읽는 것을 즐기라는 것이고 또 하나는 양을 늘리라는 것입니다
책 읽는 것은 즐기고 있고 저는 양만 늘려주면 되겠군요 ^^

책을 다 읽었다는 것은  독서한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면 되지 그 내용을 100%이해해야한다거나 하는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2~30%의 부분만 이해하고 깨달았고 그 내용을 다른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다면 책을 읽었다고 말할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해줍니다

시간이 항상 부족한 현대인이 다양하고 많은 책들을 보기 위해  저자가 알려주는 여러방법들은 그리 어려운 방법들이 아니라 저도 오늘부터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다양 한분야의 책 접근법도 소개하고 추천책도 소개해주고 있습니다 아쉽다면 일본작가이다보니 고전이나 소설류 여러가지 예시 책들 일본작가의 작품을 많이 소개해줍니다 아무래도 제가 많이 접해보지 않았던 책소개를 할때는 조금 어려웠던것 같아요 그래서 작가의 말대로 스킵했더니 
책보는것이 한결 편했던것 같습니다. 가독성을 높인 책편집 방법도 책읽기가 쉬웠습니다. 어렵지 않은 책이니 누구든 단시간에 쉽게 보실 수 있을거예요 

책을 읽고 싶은데 시간이 없다고 느끼신다면 조금 더 다양한 분야의 독서를 하고 싶으시다면 이 책을 먼저 접하고 도전하신다면 무리 없이 성공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모두들 다독하시길!


 출판사로부터 도서만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