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에 아이를 키운다는 것 - 아날로그 세대 부모가 꼭 읽어야 할 스마트 교육의 바이블
줄리아나 마이너 지음, 최은경 옮김 / 청림Life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엄마들의 고민을 한줄로 요약해 놓은 디지털 시대에 아이를 키운다는 것

분명 환경도 생각도 모든것이 다른 디지털 원주민 세대인 우리아이들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어느 중간에 있는 부모가 어떻게 하면 스마트하게 디지털 교육을 해줄 수 있을지

그 가이드라인을 찾고 싶어서 읽게 된 책!

아날로그 세대 부모가 꼭 읽어야 할 스마트 교육의 바이블

디지털 시대에 아이를 키운다는 것

두 자녀를 키우고 있고 다양한 디지털을 경험하고 있는 딸들을 보며

걱정 아닌 걱정을 항상 달고 있는 엄마이기에 이 책이 너무 반가웠다

디지털을 막을 수는 없지만 좋지만은 않을 것 같아 어릴때는 막연하게 차단하기만 했고

어느 정도 아이가 크고 나서는 막을수 없고 일상에서 다양하게 접하는 디지털을 잘 활용해야겠단 마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어른의 인내심과 절제력을 요구할 수 없기에 사실 초반 디지털 교육은 어렵기 그지 없없다

나름의 룰을 가지고 너튜브는 절대 안됨을 고수하고 있지만

이미 7세 9세 아이들은 스마트폰도 있고 학습도 북패드란 도구로 하고 있으며

티비를 볼때는 넷플릭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현실

다행스럽게도 아이들이 약속을 잘지켜서 중독됨을 보이진 않지만

너무 좋아하기도 하고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디지털 기기와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나조차도 디지털 중독에 자유롭지 못한데 이렇게 제약을 주는것 만으로

아이들이 사춘기에 들어왔을때 통제 또는 절제가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있었다

지금은 아이들이 어리니까 부모의 말에 순응한다지만 어느순간까지 내가 그 통제를 도와줄 수 있을지

이렇게 제약했던 부분들의 혹시나 나중에 더 큰 욕구를 불러오는건 아닐지 항상 걱정속에 있었다

이 책의 경우 외국작가의 책이라서 사실 우리나라보다는 조금 느린편에 속한다는 느낌이었다

청소년기 아이들을 대상으로 솔루션이 이루어져있는데

우리나라는 워낙 어린시절부터 디지털에 노출되어 있으니 그 부분에 대하여

각자의 상황에 맞추어 이해하면 좋을 듯 하다

사실 책에서는 첫 휴대폰을 청소년기의 자녀에게 준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7~8세쯤 첫 휴대폰을 가지는것 같다

뭐 따지고 보면 전화번호가 없는 공폰을 가지는 훨씬 더 어릴때 돌때부터는 자기것을 가지고

웬만한 어른보다 능숙하게 다루는 아이들이 훨씬 많으며

식당에 가보면 자연스레 아이들 앞에 하나씩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만큼 어른들도 무신경속에 아이들은 어릴때부터 중독되어 온것 같다

다시 책 이야기로 돌아가면 처음 소셜미디어를 접하게 되면서 가지는 문제점을 이야기 하고 있다

여기서 처음 들어봤던 상상적 청중이란 모든 사람이 자기에게 집중하고 있고 자신에게 관심이 있을거라는

나름의 성장발달속에 나오는 한 단어이다

하지만 알다시피 사람들은 그닥 남의 일에 신경쓰지 않지만

청소년기에는 유달리 더 그런 착각속에 신경이 곤두 서 있는데 이 발달과정이 디지털 속 소셜미디어와 만나며

새로운 상상적 청중에 관련된 행동들을 보이게된다

' 단체채팅에서 소외된다거나 sns계정에 대한 집착 팔로우수 좋아요수 소외되는 두려움 등..'

어른들이 보면 정말 쓸때없는 걱정인데 아이들에겐 이것보다 중요한 문제가 또 없다

어른들은 정상적인 발달과정임을 인지하며 좋을것이고

아이들은 보이지 이런 소셜미디어의 사용에 따라 나의 삶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대하여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실상 많은 유명인들이 이 덫에 빠져드는 것 같다

특히 연예인들의 경우 소셜미디어의 과거사가 조명되면 급추락하는 모습을 여럿 볼 수 있고

이런 일들이 우리 아이들에게도 발생 할 수 있음을 인지 시켜주는것

이것이 우리가 소셜미디어를 잘 활용하는 방안의 첫번째가 아닐까 싶다

7장을 보면서는 아직 어린아이들 보다 나 자신이 먼저 생각났다

본래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즐기던 타입인데 개인적은 큰 문제가 생기면서

사실 이런 소셜미디어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했다

나의 경우는 불특정 다수에게 오픈되는것은 상관없으나 가까운 지인이라던지 나를 아는 사람들이

인스타를 통해서 나를 속속들이 아는것도 싫었고

그러려고 안해도 자꾸 나와 다른사람을 비교하게 되고 속상하게 되고 우울하게 되어서

사실 가감하게 인스타를 끊고 산다

물론 가끔 로그인해서 보긴하지만 보고나면 결국 또다시 우울함...

나만의 문제라 생각했는데 책을 읽다보니 나만의 문제가 아닌것 같았다

아이들에게 최소한 밤사이 소셜미디어로 우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동의 공간에서 휴대폰 충전하기는 지켜야겠단 생각을 한다

나는 함부로 아이의 소셜미디어를 보면 안된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정도의 개입은 필요하며 대신 아이에게 양해를 구하고 친구를 맺는다거나

채팅창을 확인하는 방법등으로 우리아이를 지켜야지 마음 먹었다

다양한 챕터들은 부모로서 어떤 중심을 가져야하나 아이들에게 어떻게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지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방안이 많아서 좋았던것 같다

특히 들어가기저 부모 스스로 묻고 답하는 시간을 통해서 생각정리도 해 볼 수 있었고

다양한 사례와 저자의 생각을 엿볼수 있기에 더 도움이 되었다

해결책이라고 하는게 정답이 있는건 아니지만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그 기준에서 가장 알맞은 방법을 찾아가는 것 그리고 부모와 아이가 같이 고민해보는것이

가장 중요할 듯 싶다 이 책이 나에게 많은 가이드라인을 줘서 감사하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