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 갈래 길
래티샤 콜롱바니 지음, 임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12월
평점 :

같은 여성으로서 여성들의 삶을 얘기하는 작품들을 만나면 더 이해되고 와닿는 부분들이 있다. 부족한 환경에 처해있거나 차별을 겪고있거나 엄마라는 이름으로 모든 것을 내주거나...그런 모습이 더 안쓰럽고 슬퍼지는 그런 감정들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할레드 호세이니의 <천개의 찬란한 태양>은 이 모든 것을 담고있어 읽으며 엄청 울었던 기억이 난다.
<세 갈래 길> 역시 여성의 이야기를 담고있다. 인도 우타르프라데시에 살고있는 '스미타'와 이탈리아 시칠리아 팔레르모에 살고 있는 '줄리아', 캐나다 몬트리올에 살고있는 '사라'...서로 다른 대륙, 다른 문화, 다른 상황에 살고 있는 세 여성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이야기는 복잡하지 않으면서 그 다음을 궁금하게 한다.
폐지되었다지만 아직까지 사회적으로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 그 안에 나누어진 4개의 계급과 그 마지막 계급 수드라보다도 못한 불가촉천민(Untouchables) 최하위층인 달리트가 바로 인도에 살고있는 스미타의 계급이다. 3D업무를 담담하는 달리트인 스미타가 생업을 위해 하는 일은 어머니가 물려주신 바구니를 들고나가 상위계층의 똥을 치우러 가는 것이다. 그것도 맨발과 맨손으로, 때로는 품삯도 받지 못하지만 불만조차 토로하지 못한다. 그녀는 자신의 딸 랄리타에게만은 결코 바구니를 전해주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모든 수를 쓰며 랄리타를 학교에 보내게 되지만...
시칠리아에서 오랫동안 가발 공방을 운영해 온 아버지를 도와드리는 줄리아. 머리카락을 수거해 장인들의 손길로 완성시키는 공방은 오랜시간 함께 해온 동료들의 추억과 애정이 넘치는 곳이다. 어느 날 갑자기 들려온 아버지의 사고소식에 혼란스러운 현실을 만나지만 또 우연히 찾아온 인도출신의 카말을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런 그녀는 아버지가 말하지 못한 비밀을 발견하는데...
두 번의 결혼과 두 번의 이혼 끝에 세 명의 아이를 키우는 사라는 잘나가는 법률회사 파트너이다. 그녀가 이 자리에 오르기까지 그리고 지켜내기까지 어떻게 감정적으로 체력적으로 혹독하게 자신을 통제해왔는지 여실히 보여준다. 모든 것이 좋았던 그 때 사라에게 유전적으로 피해갈 수 없었던 암세포가 찾아오고 치료를 시작해야하지만 결코 회사에 알릴 수가 없다. 암투병조차 일처럼 해결해가던 그녀에게 결코 원하지 않던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하더니...
가장 인상깊게 다가온 이야기는 인도의 스미타였다. 태어나면서부터 갇혀버린 계급과 문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극기에 가까운 운명을 뚫고 나가는 그녀에게 자신과 다른 삶을 살길 바라는 딸을 위한 투쟁이자 간절하게 벗어나고 싶은 심정이 느껴졌다. 스미타, 줄리아, 사라 모두 자기 앞에 다가온 위기를 두고 어떤 선택을 하며 어떻게 헤치고 나아가는지 보여주는 과정에서 세 명 모두 포기하지 않고 직진하는 모습은 감동과 용기를 얻는다. 다른 곳에 사는 세 명은 서로 만나지 않지만 묘한 인연의 끈으로 서로가 연결되는데 그런 멋진 마무리를 알고나니 세 여성의 서로 다른 세 갈래 길이라고만 생각되었던 제목은 곱게 땋기 위해 세 갈래로 가르는 머리카락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했다. 길지 않은 이야기로 깊은 임팩트를 전해준 그녀들은 앞으로 내 삶의 위기 앞에서 떠오를 것 같다. 이 세상에 존재할 또 다른 스미타, 줄리아, 사라들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