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자꾸만 무뎌지는 나를 위해
강레오 지음 / 예담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쉽고 또 아쉬웠다. 글을 잘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기관리’가 그 잘 쓴 글을 빛내주는 중요한 요건이 된다는 점에서 강레오 씨의 책은 그의 태도 때문에 묻혔고, 아쉬운 책이 되었다. 10대 시절부터 요리업계로 뛰어들어 갖은 고생을 하며 최고의 자리, 최고의 셰프라는 수식어를 달게 된 그이지만, 높은 자리일수록 겸손해야 한다는 옛말이 하나도 틀린 것이 아니라는 걸 입증한 셈밖엔 되지 않았다.

사실, 책을 받고 기대가 몹시 컸는데 초반부까지 재밌게 읽다가 그맘때 터진 강레오 씨 관련 언론보도를 접하고, 더 이상 읽기 싫어졌다. 언론보도 또한 믿을 게 못 된다는 점은 알지만, 그냥 그만큼 무서운 매스컴 앞에서 겸손하지 못했던 그의 발언이, 그의 인격을 대변한 것 같아서.

맹기용, 최현석, 강레오, 그리고 백종원. 요리에 ‘요’자도 모르는 나지만, 이런 셰프들의 이름이 하나도 어색하지 않다. 그만큼 지금 시점이 ‘요리’라는 아이콘에 ‘핫’한 시대가 되었단 뜻일 테다. 각종 방송은 요리라는 소재를 가지고 와서 진행을 하고, 셰프들의 이름을 딴 프로그램이 생기기까지 하는 마당. 그리고 그 뜨거운 열기는 어느 셰프에게는 과열로 이어져 다시 급추락하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한다.

연일 이어지는 셰프들의 과도한 활동이 누군가를 넘어뜨리고, 깎아내리고, 비판하는 모습으로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강레오 씨의 자서전 성격이 짙은 에세이를 진심으로 재밌게 읽을 마음이 생기지 않았다. 요리든, 옷이든, 그리고 집이든. 사람이 먹고, 입고 사는 곳. 즉 사람과 연관된 모든 것에는 만든이의 ‘인격’이 함께 스며든다. 아무리 빛깔 곱고 좋은 재료로 만든 요리라고해도, 강레오 씨가 후배들, 혹은 비교경쟁순위에 있는 타인을 겨냥한 발언을 하며 자기가 성취한 자리만이 정석이라는 어조를 풍긴 이상, 그의 요리에 대한 편견이 당분간은 이어질 것 같은 느낌이다. 어쨌든, 기대가 커서 실망도 컸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