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화양연화 - 책, 영화, 음악, 그림 속 그녀들의 메신저
송정림 지음, 권아라 그림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인생의 화양연화 - 송정림, 여자의 삶에 리듬을 줘라

송정림 작가의 신간, <내 인생의 화양연화>를 읽고 제일 첫 번째로 들었던 생각! ‘표지가 마음에 쏘~옥 든다는 사실’이었다. 그 이유는 내가 투표한 표지여서. 자음과모음 출판사에서 출판사 카페 회원들을 대상으로 여러 표지 시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시안에 투표를 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서 책을 출간하겠다고 했었는데 내가 선택했던 1번 시안이 바로 현재의 <내 인생의 화양연화> 표지다. 나 말고도 이 표지를 마음에 들어 한 수많은 독자들이 있었지만, 어쨌든 내 선택을 받은 표지와 함께 독서를 하니 기분은 배로 즐거운 것 같다.

송정림 작가의 책은 얼마 전 읽은 정여울 작가의 <잘 있지 말아요>와 비슷한 맥락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차이점을 하나 꼽는다면 그건 작가 자신의 생각이나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위해 차용해온 소재가 <내 인생의 화양연화>에 더욱 다양했다는 점이다. 사실 비슷한 구성으로, 그러니깐 책이나 영화 등의 작품을 논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글로 풀어낸 책을 연달아 두 권 읽는다면 독자로써는 질릴 법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행이도 송정림 작가의 책에서는 책과 영화뿐만 아니라 작가 그녀가 좋아했던 노래도, 일상에서 듣고 접했던 이야기들도 모든 것이 책의 소재로 작용했다.

정여울 작가는 문학평론가라는 명성에 걸맞게 책을 만들었고, 송정림 작가는 교사출신 답게 다채로운 삶의 이야기를 버무려 에세이집을 냈다는 점에서 연달아 읽은 두 권의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서로의 차이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예전에 <아플수도 없는 마흔이다>라는 책의 소개글을 작성했던 적이 있다. 소개글을 쓰면서 그 책을 대충 훑어볼 기회가 닿았었는데, 인생의 ‘마흔’에 접어든 이들에게 전하는 위로의 글이자, 힐링의 글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이 책 역시 그러한 중년들에게 희망과 새 힘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그런 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글을 썼다는 흔적도 자주 발견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갓 인생의 맛을 알기 시작한 청춘들보단 인생의 달고 쓴 맛을 골고루 본 이들에게 더 와 닿을 그런 이야기들도 책에 많이 담겨 있었기 때문이다.

잘게 나눠진 챕터 안에 들어있는 하나하나의 이야기마다 또 소제목을 붙이고 그 소제목을 통해서 독자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환기할 수 있는 기회 또한 선사해준 책. 나는 <내 인생의 화양연화>라는 책을 이렇게 정리해본다.

‘나는 누군가에게 어떤 사람인가’라는 파트를 통해 ‘존재’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고, ‘여름이 지나면 가을이 온다’라는 이야기를 통해서는 ‘결국 고난의 시간은 흘러가기 마련이다’라는 생각을 할 수 있었다. ‘슬픔은 인생의 연금술’, ‘사막의 오아시스는 아주 가까이에 있다’, ‘들꽃은 작지만 결코 작아 보이지 않는다’ 등의 소제목을 통해서도 또 나만의 상황으로 걸러진 새로운 시각들이 피어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책을 써야겠다!’하고 그 때부터 글을 쓴 게 아니라 하루하루 차근차근 써 내려간 글을 드디어 한 권의 책으로 엮어 출간한 책이기에 더욱 완성도가 높은 것 같다. 어느 이야기 하나 허투루하단 느낌도 그닥 없었고. 작가의 실제 삶이 고스란히 녹아든 책이었기에 더 가슴 따뜻했던 독서시간. 이 책은 내 나이 마흔에 꼭 다시 만나고픈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