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의 기억법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남들은 흔히들 청춘이라 불리던 그 시절에 한 남자는 숱한 사람들을 죽이는 살인마로 살았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사람을 무자비하게 죽였던 연쇄살인범으로. 살인범은 자신이 죽였던 여자의 딸을 입양하여 함께 사는데 워낙 나이차이가 많아서 동네 사람들은 그와 그녀의 사이를 할아버지와 손녀 사이로 오해하곤 한다. 어쨌든, 살인범은 그렇게 딸을 키우며 자신의 하루하루를 기록한다. 그의 기록이 시작되는 순간부터 그의 기록이 끝나는 순간까지, 그가 잡은 펜을 통해 기록된 모든 텍스트들이 담긴 책, <살인자의 기억법>을 읽었다.

 

김영하 작가는 매니아층이 두터운 작가 중 한 명이다. 하지만 난 그의 팬은 아니다. 그저 그의 이름이 유명하다는 것을, 그리고 그의 작품이 많은 상을 받았다는 것을 통해 그에게 호감을 갖는 독자 중 한 명일 뿐이다. 이번에 <살인자의 기억법>을 선택한 이유는, 솔직히 말하면 오로지 제목 때문이었다. ‘살인자의 기억법을 엄청 무서운 한국판 추리소설로 생각했다. 최근에 일본판 추리소설을 많이 읽어서일까. 한국에서 꽤나 유명한 김영하 작가가 펴낸 추리소설은 어떤 스토리로 채워져있을까, 이런 기대를 하고 책을 주문했는데 내 실수였다. 추리소설이 아니라 이 책은 그저 한 사람의 내면이 철저하게 드러나 있는 자전적 에세이같은 작품이다. 연쇄살인범 김병수의 자전적 에세이 말이다.

 

사람을 죽이며 살아왔던 그에게 어느날 박주태라는 수상한 남자가 주변을 얼씬거린다. 딸을 노린 또 다른 연쇄살인범으로 판단한 김병수는 딸 주변에서 박주태를 떨어뜨리기 위해 그의 인생 마지막 살인을 계획한다. 최근 25년간은 살인을 저지르지 않았던 그였기에 박주태라는 파릇한 놈을 죽이는 건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더군다나 김병수는 알츠하이머 판단을 받아 기억까지 가물가물한 상태. 자신의 기억이 오락가락하는 순간, 딸을 지키기 위해, 수상한 놈을 제거해야 한다는 자신의 삶 최후의 거사를 치르기 위해 그는 녹음기로, 일기장으로 모든 하루하루를 기록한다.

 

매우 섬세하다. 그리고 매우 신선하다. 남자들은 여자들에 비해 감성적인 부분이나 표현하는 부분에서 감각이 떨어진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김영하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김병수는 표현력에 있어서 몹시 여성스럽고 섬세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또 하나 신선하다고 평가하는 점은 놀라운 반전을 숨기고 있기 때문. 그것도 반전을 등장시킨 다음에 그 반전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반전 상황 그 자체에서 종료되기 때문에 어찌보면 독자에게 조금 무례한 작품일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런 부분마저도 신선하게 평가했다. ‘독자를 깜짝 놀래키다니, 역시 깡다구가 센 작가야!’ 이렇게.

 

단문장들로 구성되어서 작품이 흡입력있고 놀라운 속도로 읽혀진다는 점은 장점이자 단점이다. 이 작품에는 이야기가 끝이 난 후 문학평론가 권희철 씨의 평론이 꽤 긴 페이지에 걸쳐 실려있다. 그의 평론을 읽고 나니 내가 이 작품을 술술 읽었던 것이 아직 김영하라는 작가를 이해하는 능력이 부족해서라는 걸 깨달았다. 빨리 읽는다고 다 좋은 건 아니라는 것, 글자가 눈에 들어오는 속도와 순간 머리로 이해하는 속도가 거의 일치한다고 해서 내가 100% 똑똑한 독자는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해준 작품이다.

가끔은 곱씹고, 또 곱씹고, 낡아질 때까지 작가의 의도와, 주인공의 내면을 여러갈래로 분석해야 할 때도 필요한데, <살인자의 기억법>은 꼭 그렇게 읽어야 할 작품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