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가 정말 예쁘다. 시공사 세계문학전집은 처음 보는데 M, Y, E, P 출판사 세계문학전집보다 훨씬 마음에 든다. 유일한 단점, 아니 아쉬움이라 하면 양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양장이 아니기에 겉표지의 그림 부분 재질이 독특할 수 있었을 것이다.

피츠제럴드라 하면 몇몇 단편들과 ‘위대한 개츠비’밖에 알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밍웨이와 어깨를 (거의) 나란히 한다는 점에 약간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한 의문은 이 '밤은 부드러워'를 읽으며 완전히 해소된다. 모든 소설은 곧 작가 자신의 이야기다. 어떤 작품에나 작가는 자신의 모습을 담을 수밖에 없으며(자신의 모습을 담는다는 것은 자신의 세계를 보는 관점을 담는다는 것과 같은 말이다.) 이 작품은 ‘위대한 개츠비’보다 물리적 양이 많은 관계로, 피츠제럴드의 세부적인 모습이 더 많이 담겨 있다.(일례로 나보코프는 소설 속에서 자전적, 도덕적 요소를 찾지 말라고 '비웃듯이' 말하곤 하지만 그런 시니컬한 세계관, 가치관마저 그의 작품에 담겨 있다.) 피츠제럴드의 분신인 딕은 니콜도, 로즈메리도 사랑한다. 이게 진짜 사랑이었는지 아닌지, 진정한 사랑은 무엇인지 같은 문제는 차치하고 보자. 니콜과 로즈메리는 피츠제럴드의 여인의 특성을 조금씩 나눠가졌다. 그 과정에서 피츠제럴드는 자신을 미화시킬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나름의 생존본능일 것이다. 미화하는 방향과 방식이 ‘위대한 개츠비’와는 다르다. 일단 서사의 중심축이 전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피츠제럴드가 작품 속에 재현하는 ‘남자로서의’ 삶의 모습도 다르다. 이 책을 읽어볼 독자가 있다면 헤밍웨이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를 같이 읽어봤으면 좋겠다. 잃어버린 세대의 대표 작가인 헤밍웨이와 피츠제럴드. 그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그대로 담겨 있다고 평가받는 ‘밤은 부드러워’와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분량마저 거의 비슷하다. 조금 더 비개인적인 소재를 통해 개인적 세계를 구현하고자 했던 헤밍웨이와 개인적 경험의 심화를 통해 인생실험을 하고자 했던 피츠제럴드. 당시의 시대상과 사람들의 내면, 피츠제럴드와 헤밍웨이의 차이와 연관성에 대해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은 경제에 약간이라도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열명의 경제학자에 대한 책이다.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앨프레드 마셜, 조지프 슘페터, 루트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밀턴 프리드먼, 발터 오이켄, 제임스 뷰캐넌, 로널드 코스 전부 이름이 쟁쟁한 대가들이다. 이들의 생애를 간략히 다루고 이론의 핵심을 20페이지 내외로 정리해 모아 놨다. 책의 뒷 면에는 이런 글이 쓰여 있다. '자본주의가 이끌어온 세계경제의 폭발적 성장, 그 핵심을 만나다!' 그렇다. 이 책은 경제학에 대한 책이지만 더 구체적으로는 '자본주의'에 대한 책이다. 초기 자본주의 형태인 중상주의부터 현대의 신자유주의까지 자본주의를 옹호하는 학자들의 종합세트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교양서다. 전공서적이 아니다. 그리고 이 책의 예상 독자는 경제학이 뭔가 기웃거리는 사람들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이 책은 정말 훌륭하면서도 치우친 책이 될 수 있다. 현대 경제학을 이끄는 거대한 두 원류인 신자유주의 경제학과 맑스 정치경제학 중 하나의 뿌리부터 그 흐름을 알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지만, 맑스 정치경제학에 대해 전혀 다루지 않는다는 것은 약점이다. 나름 경제학에 일가견이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은 이 책을 읽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오로지 '재테크'에만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진짜 경제학이 뭔지 알기 위해서 이 책을 꼭 읽으라고 추천하고 싶다. 다만 이 책만을 읽고 '아 경제학이 이런 거구나'라고 생각한다면 그야말로 우물 안에 갇히는 꼴이다. 장하준과 토머스 프리드먼의 책을 병독하길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