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비영 작가의 글은 덕혜옹주를 통해서 한번 접한 경험이 있다.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작가이다

어렵고 답답한 주제이지만 술술 읽을 수 있는 책

이 책 몽화도 마찬가지로 어려운 주제를 쉽게 읽을 수 있게 해준다

 

일제 강점기 세 소녀의 이야기

같은 곳에서 친구로 자라지만 결국 다른 길을 갈 수 밖에 없었던 친구들의 이야기이다

영실과 은화 정인 세 꿈 많은 소녀들의 아름다운 시절이야기이다

이글의 배경은 일제강점기 이야기의 힘은 강제징용 위안부의 문제이다

문학은 이 어려운 문제를 크게 떠벌리지 않고 조용히 서술하고 잔잔하게 전달하며

그 아픔을 공감하게 한다. 그리고 상처를 보듬는다. 그것이 문학의 힘이다.

 

넌 꿈이 뭐니?

프롤로그를 여는 첫 문장

그 시절 아이들에게 꿈이라는 것이 손에 잡을 수 있는 실체였을까?

아님 공상에 가까운 관념이었을까?

영실은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 이모의 도움을 받아 유학도 다녀오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힘을 잃지 않는다

은화는 간호사가 되고 싶었다. 기생집에서 자란 은화는 자신의 운명인 기생의 길을 피하고 싶어 기생집을 나오지만 결국 위안부로 끌려가 심한 고통을 받는다.

자살시도를 하고 목숨을 건 탈출을 감행하고

정인은 아버지의 그늘아래 어렵지 않은 삶을 산다

일본편에 선 아버지 덕분에 불란서 유학까지 떠나게 되지만

가족 안에서의 문제로 인해 정신적인 고통을 갖고 살아간다

겉보기엔 안정적인 삶을 살지만 내면은 고통을 받는 아이

현모양처가 되는 꿈을 가진 아이

자신의 부모가 매국의 길을 가고 있음을 알고 차라리 가난했으면 좋겠다고 말을하는 아이

 

사춘기 시절 세 소녀들은 얼마나 많은 꿈을 꾸고 싶었을까

시대적 배경 때문이라는 가혹한 현실 앞에서 한창 꽃피울 세 아이들의 인생은 순탄치 않다

동시에 우리 민족이 살아온 시절도 순탄치 않았으리라

 

풍랑은 가고 너울이 온다

반드시 우리 다시 만나자

 

시대의 아픔이 아직도 진행형이라는 더 가슴 아픈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