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거짓말 - 대마도, 그 진실은 무엇인가
서동인 지음, 이오봉 사진 / 주류성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 일본의 복잡하게 얽힌 역사에서 우리는 늘 은혜를 베푸는 자였으며 동시에 간악한 일본으로부터 고통을 받는 자였다. 그래서 일본은 가장 가까운 나라임과 동시에 가장 적대시 되는 나라다. 누구나 한 번 쯤은 이런 생각을 해봤을 것이다. ‘역사상 일본보다 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던 우리는 왜 일본을 병합하거나 식민지화 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여 일본의 영토로 들어가게 두었을까

만약 우리 선조들이 대마도를 한반도 국가의 한 부분으로 흡수 하였다면, 수많은 왜구의 침략과 수탈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일본과의 해안선 구획에 있어서도 지금보다 훨씬 넓은 권역을 차지할 수 있어 영토의 범위도 넓어질 것이다.

역사는 가설이 의미 없는 일이지만 만약 그랬다면 지금 우리의 모습은 조금 변하지 않았을까?

나는 조선의 거짓말을 읽기 전까지 역사이래 대마도가 온전히 일본의 영토로 인식되어 온 줄만 알았다 하지만 내 생각이 틀렸음을 알았다. 조선시대 정부관료를 제외한 많은 신민들은 대마도를 우리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음이 틀림없다. 문제는 역시 관료들 이다.

정부 관료들만이 대마도를 일본의 땅으로 인식하고 당연시 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 부분을 중심적으로 생각하며 책을 읽었다

조선은 대마도를 실질적으로 지배 하지 않았다. 조선은 건국 초 이성계 때부터 대마도를 일본 땅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다가 세종 때부터는 다시 대마도가 조선 땅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세종은 이종무 장군을 필두로 대마도를 정벌하여 대마도 주에게 항복을 받아 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마도를 조선의 영토로 흡수 하지는 않았다.

아마도 조선 조정에서는 대마도를 통치함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가장 크게 고려한 것 같다.

먼 바다 넘어 있는 섬을 통치하기 위해서는 통치비용의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기엔 대마도를 취했을 때 조선이 얻을 이익과 비교해 통치비용이 훨씬 더 많이 소모 된다는 결론에 이르렀을 것이다. 산지 지형으로 이루어진 대마도에서는 식량이 크게 생산되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굳이 대마도를 흡수 하지 않아도 대마도주들은 언제나 한반도 국가에 대한 사대의 태도를 취해 왔으므로 대마도에서 발생하는 외적출몰의 경우에 대마도주를 컨트롤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는 안일한 생각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정에서 바라보는 대마도의 모습과 신민들이 바라보는 대마도의 모습에도 차이점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민간지도에는 대마도가 조선 땅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정부의 공식기록인 <조선왕조실록>에는 대마도가 빠져있거나 일본의 영토라는 내용이 들어있다. 어쩌면 역사 기록을 살펴볼 때, 대마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것은 사실과는 다른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대마도는 조선 땅'이라는 믿음은 조선조 5백여 년 동안 조선 조정의 상층관료를 제외한 일반 백성 대부분이 갖고 있던 생각이었다.

정상기의 조선팔역도(1740), 청구요람의 본조팔도주현도총목에도 울릉도와 제주도는 있어도 대마도는 없다.

15세기 중엽 퇴계 이황이나 선조도 이미 오래전에 일본에 빼앗긴 것이라 말했다.

<세종실록>에서 윤인보(尹仁甫)"신이 사신이 되어 일찍이 대마도에 이르니 추장 종정성과 그 백성들이나의 생각은 이렇다. 모두 '의식은 오로지 임금의 은덕을 입게 되었으니, 몸은 일본 땅에 있어도 마음은 귀국의 백성과 다름이 없습니다.'면서 섬사람들이 모두 물고기와 술을 다투어 가지고 와서 위로하였습니다..." 이처럼 대마도를 분명하게 일본 땅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국가를 통치하는 데에 있어서 효율성과 실리는 중요한 덕목이다. 그러나 효율과 실리만을 생각했을 때 우리가 잃는 것들은 너무 많다. 국민은 국가를 경제성만을 위해 구축하지는 않는다. 명분과 대의도 찾고자 하며 국가가 이상적인 정신세계를 구현하고 추구해 주길 바라기도 한다. 우리 정부는 일본과의 관계에서 실리를 위해 몇 번 일본과 과거사에 대한 합의를 이루어냈다. 그럴 때마다 전 국민적 저항을 받아왔다. 최근의 경우에도 10억엔으로 상징되는 비용만을 가지고 일본과 위안부에 관한 문제를 합의 하였다. 그 역시 실리가 우선이었기 때문이다.

조선 정부도 대마도라는 섬에 들이댄 잣대가 실리였을 것이다. 그 먼 섬 하나를 통치하기 위해서 발생하는 실익을 저울질 했을지 모를 일이다.

현재의 정부와 그 당시 정부, 유사한 점이 많은 듯하다.

그 실익에 대한 계산과 안일함으로 대마도를 방치한 결과 후대들은 섬을 일본에게 온전히 빼앗겨 배제되고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