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과 소아기 감정양식
Leon J.Saul / 하나의학사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약하자면,
우리는 과거 부모와의 관계에서 경험한 감정을 성장 후 이성과의 관계에서 되풀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부모와 아동은 동일시와 대상관계라는 두가지 심리적 관계를 맺는다.

 우선, 아동은 부모가 자신의 요구를 해결해줄 대상으로 보고 기대하게 되는데 이를 대상관계라 한다. 이 과정에서 얼마나 충족감 또는 결핍감을 느꼈는가에 따라 이후 심리적 양상도 달라진다. 충족감이 지나쳐도 의존적이 되지만 심하게 결핍되면 분노나 죄책감 등 다양한 문제를 낳게 된다. 

 또한 아동은 부모 중 어느 한쪽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가지게 되는데 부모의 부부관게가 불행할 경우 동일시 대상으로서 건강한 역할 모델을 하기 어려우며 이로인해 아동에게 다양한 감정적 문제가 발생한다.   

나의 아버지는 매우 특별한 사람이었다. 이기적이고 변덕스러우며 언제든 폭력적으로 돌변할 수 있는 위험한 사람. 어머니와 우리 자매들은 오늘 또 어떤 바람이 불지 그 방향을 주시하며 전전긍긍했다. 불행한 사람들은 자기 보호에 급급하기 때문에 주위의 피해자들에게 나눌 온정이 없다. 어머니는 자상하셨지만 우리를 사랑하셨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황야에 서있는 허름한 판자집처럼 집 안에서 늘 바람이 불었다. 어린 시절 따뜻하고 즐거운 기억이 별로 없다. 나는 불기가 있는 곳이 그리웠다.    

아버지는 자주 불 같이 화를 냈고, 우리를 물건처럼 취급하는 말과 행동을 하셨다. 나는 그가 미웠다. 하지만 한편으로 화를 내는 것이 너무 힘들었다. 화를 내면 그가 나를 정말 죽일 것같았다. 그리고 때때로 보이는 감정적인 나약함들- 때린 뒤에 과자를 사오거나 우리를 웃기려 하는 등-을 보면 그가 불쌍했다. 내가 아버지를 불쌍히 여긴 것은 사실이었을까? 아니면 그 자식으로 살아남기위해 감정적으로 타협하려 한 것일까? 잘 모르겠다. 어쨓거나 그 불쌍히 여김은 내 안의 적개심이 강한 만큼 같이 자라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충돌했다. 그리고 분노하는 나자신에 대한 죄책감으로 발전했고, 죄를 지은 나를 다양한 방식으로 벌하는 자학증세로 나타났다. 부모에 대한 분노, 죄책감, 그리고 자학으로의 발전은 특수한 사례가 아니라 대부분의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정양식이다. 다만 나는 그것이 좀 더 압도적이었던 거다. 

내 경우 자학은 20년간의 폭식-거식증과 비뚤어진 이성관계로 나타났다.  

좋은 남자를 사랑할 수가 없었다. 지독한 연하거나 결혼이 안되는 남자를 골랐다. 내게 불행을 가져다 줄 것같은 남자에게 이끌렸다. 행여나 좋은 남자를 만나면 그가 나쁜 남자가 될때까지 불평하고 공격해서 서로를 증오하며 헤어지게 만들었다. 

읽고 울고 울고 또 울었다.
아버지만 보면 또 눈물이 나온다. 그 또한 다른 부모가 만든 희생자가 아닌가.

이 책을 통해 얻은 이해가 나를 그리고 또 다른 희생자들을 자유케하기를 기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