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밥 한번 사준 선배에겐
고마워~
매일 밥해주는 엄마에겐
물이나 줘~
여자친구 생일엔
축하해~
부모님 생신엔
엄마 생일이었어?
오분 기다려준 동료에겐
죄송합니다. 늦었습니다.
평생을 기다려준 부모에겐
왜 나왔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느끼는 감정은 고구마를 한가득 입에 넣고 있는 듯 답답함이었다. 이런 억압된 삶 속에서 살아간다면 누구라도 미쳐버리지 않을까... 하지만 캄빌리와 캄빌리의 오빠 자자는 어릴 적부터 그런 생활만 해왔던 터라 그것이 당연한 줄로 알지만 이페오마 고모 집에 며칠 머물게 되면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가난하지만 자유롭고 행복해하며 식탁에서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 등 사촌들의 행복한 삶을 보면서 자신들과 다름을 깨닫게 되고 자자는 세상에 눈을 뜨기 시작한다. 이 책은 캄빌리의 눈으로 보는 세상을 관찰자 입장에서 써 내려가고 있지만 캄빌리는 소극적이고 그저 관찰자의 입장일 뿐이다. 여전히 아버지의 그늘이 안심되고 아버지에게 칭찬받기를 바라는, 아버지가 곧 하나님이라는 존재로 인식하면서 절대적으로 순종하는 것이다. 아버지가 죽고 난 후에는 그러한 감정이 아마디 신부에게로 넘어간다. 절대적이고 엄격했던 존재에서 부드럽고 자상한 존재로 바뀌었을 뿐 캄빌리는 아마디 신부에게도 순종하고 무조건 적으로 믿는 행동을 보이며 현실에 안주하는 모습이다. 하지만 자자는 특이한 보라색 히비스커스에서 희망을 보았다. 그리고 틀을 깨고 변화를 꿈꾸며 성장하기 시작한다. 억압과 폭력을 견디다 못한 엄마는 남편을 독살하게 되고 자자는 엄마를 보호하기 위해 자신이 아버지를 독살한 것이라고 자백하게 된다. 책은 감옥에 갇힌 자자가 곧 출소를 앞두면서 끝을 맺고 있다.
잘못된 신념과 종교적 이념으로 고통받았던 가족의 이야기는 마음 아프기도 하고 안타깝게 느껴졌지만 변화를 꾀하고 시도한 자자의 모습을 보면서 앞으로 그들의 달라질 삶을 응원하게 된다. 지금까지 옳은 것이라고 생각했던 과거의 것들이 틀리다는 것을 깨달았다면 과감히 버릴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고 성장하게 될 테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