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이미 읽혔다 - 상대의 속마음을 간파하는 기술
앨런 피즈.바바라 피즈 지음, 황혜숙 옮김 / 흐름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대선 토론이 이슈다. 많은 사람들이 SNS를 통해서 저마다 논평과 분석을 하기도 하고, 가끔은 패러디를 통해 재미있는 게시물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나 역시도 대선 토론을 흥미롭게 지켜보았지만, 사람들이 대선 토론의 정책 내용보다는 말솜씨와 표정 등에 주목한다는 것에 놀라기도 했다. 사람들은 정말, 후보들이 구사하는 언어의 기술에 더욱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일까? 그리고 하나 더, 이 책은 여기에 덧붙여 언어란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라 몸짓과 표정을 모두 포함한 것이라는 것도 알려주고 있다.

이 책은 몸짓, 손, 미소와 웃음, 팔, 손짓, 영역, 다리, 흉내내기, 방향, 자리, 그리고 담배나 화장, 안경까지 사람들을 만났을 때 우리가 외면으로 느낄 수 있는 거의 모든 것을 분석한 결과와,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팁을 제시한다. 이 책을 접하면서 남녀의 차이에 대한 유머가 하나 생각났다. 남자는 동성 친구를 만나면 서로의 눈을 보면서 '안녕' 한 마디로 인사가 끝나지만, 여자는 동성 친구를 만나면 서로의 눈을 보고 '안녕'이라고 말하는 동시에 서로의 머리 모양, 화장, 옷, 신발, 가방, 살이 쪘는지 빠졌는지 등을 순식간에 눈으로 점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책에서도 여자는 남자보다 시야가 넓기 때문에 (대화하는 상대에 대해) 더 많은 시각적인 정보들을 짧은 시간에 받아들일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나는 어떠한가를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되었는데, 사실 나는 이러한 몸짓이나 손짓에 신경을 쓰는 편이다. 이렇게 책을 읽고 깨닫게 되지 않더라도,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몸짓으로 표현하듯이, 바라보는 사람도 무의식적으로 상대의 몸짓 언어를 받아들일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나는 첫인상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처음 누군가를 만났을 때 실수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이 책의 내용들이 새롭거나 하지는 않았지만, 이런 것들을 잘 실천하고 있는가에 대해 되돌아보게 되었다. 나의 웃는 모습이 상대방에게 비웃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았는지, 혹은 앞에 나가서 무언가를 발표하고 강연하는 발표자에게 나도 모르게 '당신의 강의는 지루하다'는 몸짓 언어로 실례를 범하지는 않았는지.

더불어 알고도 실천하기 어려운 부분들도 있을 것 같다. 예를 들면 특정 문화권에서 통하는 몸짓 언어에 대한 문제다. 책은 미국의 몸짓 언어를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미국의 문화를 많이 받아들인 편이지만, 다른 문화권에서 자란 사람들에게 나도 모르게 몸짓 언어로 실수를 하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도 되었다.

이 책을 추천한 아는 언니는 끝에, '그런데, 가끔은 그냥 사람을 편하게 만나고 싶은데, 이 책을 읽고 나서는 나도 모르게 사람의 몸짓과 표정을 분석하게 되더라'는 이야기를 전했다. 그럴 때는 정말 '아는 게 병'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간파당하는 것보다는 간파하는 쪽이 낫지 않을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몰라서 마음 편하게 지나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귀여운 거짓말을 알면서도 웃으며 넘어갈 수 있는 아량이라는 생각이 든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