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고 서툰 아이 몸놀이가 정답이다 - 두뇌와 감각이 자라는 하루 30분 몸놀이의 기적 바른 교육 시리즈 22
김승언 지음 / 서사원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첨단 시대, 왜 자폐, 발달 장애 아이들이 더 많이 증가할까요?

우리 아이 지금 뭘하고 시간을 보내고 있나요?

발달장애로 상담을 받으러 오는 부모님들의 동일한 대답이 있다는데요😮

:독박육아, 집에서만 키웠다,첫째나 외동아이,

아빠의 귀가가 늦다. 주로 혼자 논다,

소리나 빛이 나는 장난감을 자주 가지고 놀고 미디어 노출이 잦다

<P19 Ch1. 고독하게 성장하는 요즘 아이들 중>

한 사람이 성장하기까지 많은 사람들과의 소통이 이루어지는데 지금의 아이들은 이런 만남, 소통, 접촉 스킨십, 몸놀이가 많이 부족합니다. 특히 코로나시대로 소리없이 피해를 보는 그룹이 아이들이 아닐까요?

비대면으로 모든것이 바뀌고 있어 예전같으면 체험이 많을텐데 그런 기회를 많이 갖지 못하고 있는것이 현실!

내 아이 온실 속 화초 VS 들판의 잡초

혹시 다칠까 아플까 상처받을까 미리 걱정하는 부모의 마음이 오히려 발달을 막죠.

안먹겠다는 아이를 쫒아다니며 먹이기도 하고 뒤처질까 수행평가를 대신해주더니 고등학생인 자녀 봉사활동을 대신해주는 분들도 있었어요. 교수로 있는 제 친구는 학생이 수강신청을 못한다고 엄마가 전화해서 알아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고 해요. 왜 이런일이 생겼을까요?

독 VS 약이되는 양육법

과잉 보호는 자녀가 스스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고 결과적으로 자녀의 인생에 독이 되지요

온실속이 아니라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갈 수 있는 근성을 키워주는게 부모의 역할이 아닐까요

아이를 키우는 초반에 있다면 이 책 집중!

<Ch2. 아이에게 몸은 곧 뇌>

아이가 몸이 닿으며 오감을 모두 사용해 느끼는 것이 아이의 발달을 위해 너무나 중요합니다.

몸의 움직임이 뇌와 밀접한 관계가 있죠

뇌 발달에 문제가 생기면 당연히 전반적인 발달에 문제가 생기는겁니다

이 중요한 뇌가 가장 급속도로 발달하는 시기가 바로 영유아 시기입니다

몸 발달이 바로 뇌 발달, 몸이 경험이 뇌의 활성화로 몸과 뇌가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거에요

이런 몸과 뇌가 서로 작용하며 발달이 선순환됩니다

버리세요!

아이에게 독이 되는 환경을 소거하세요!

지금 많은 아이들이 노출되어있는 미디어는 아이가 주도적으로 상황을 해결할 필요가 없이 수동적으로 보고 들으며 소비하게 되어 쉽고 편한것에 익숙하게 되어 문제상황시 해결하기 보다 회피하도록 만들어갑니다. 이런 아이들이 점점 많아지는 현실이 걱정스럽다면 더 늦기전에 바로잡을 필요가 있습니다.

" 집안의 모든 장난감을 버리고 아이와 매 순간을 함께 해 주세요

....

아이 치료를 위해 했던 일들은 아이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리고

자폐성향을 더 강화할 만한 유해요소를 철저하게 제거하는 일이었다.

장난감, 책들을 치우고 가장 먼저 생긴 변화는 아이가

생활용품들을 활용해 놀기시작한 것이다

P. 222-233

😮저도 놀아주고 싶은데 시간도 없고 체력도 없고 어떻게 놀아줘야 하는지도 모르겠어요

😭몸으로 놀아주라고 해서 손목이 나가도록 이불 썰매 태워줬어요

그런데!진짜 몸놀이가 아니라니!

억울하죠

그러면 어떻게 할까요? HOW?

몸놀이의 기본은 <접촉>

자신의 몸을 많이 쓸 필요없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없는 몸놀이는 안타깝게도 힘만들었다

마치 유모나차, 자동차, 에스컬레이터 타고 편안하게 시각위주의 자극만 경험한 셈이죠

조금 변형만 해도 제대로 된 몸놀이로 유익한 효과를 볼수 있답니다

😭저질 체력 부모, 맨날 어떻게 힘차게 놀아주나요?

이럴땐 게으르게 놀아주면서도 놀이효과는 살리는 <느리고 서툰아이 몸놀이가 정답이다> 실용팁을 적용해보세요

몸놀이에 흥미가 없어요. 어떻게할까요?

몸놀이 어떻게 하는거에요?

어느 정도 세게 해야하나요?

아이가 한가지 놀이만 원하는데 이것만 계속해줘도 될까요?

낯선 자극에 익숙하지 않지만 경험이 늘어갈 수록 아이가 좋아집니다

아이는 낯설고 불편한 환경에 무작정 부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 내 몸을 적절히 쓰게 됨으로 점차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게됩니다

신학기 되는데 학교가 다시 원격으로 갈수도 있다고 하고 유치원, 어린이집 확진이 기하급수적이라 확진이 남의 일이 아니죠. 외출도 어렵고 아이랑 하루종일 있는거 힘들어 혼자 노는 아이가 어떤 상태인지 오히려 관찰이 부족할 수도 있어 발달장애를 제때 발견하지 못하면 성장에 너무나 치명적이에요

스마트폰 제한없이 가지고 놀고 있지 않은지 점검해 보시고 매일 30분! 자녀와 몸 접촉 시간을 시작 해 보세요

제대로 몸 놀이 방법 모르는 분들!

솔직히 많아서 <느리고 서툰아이 몸놀이가 정답이다>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