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사회 -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카롤린 엠케 지음, 정지인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혐오사회]의 저자 카롤린 엠케는 그 자신이 사회적으로 "혐오"를 받는 동성애자이다.
이 책은 자신이 그 다름으로 인해 평소에 받아온 혐오, 증오, 차별, 멸시 등등을 기반으로 사회적으로 혐오받는 또다른 집단을 살펴보며,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이 왜 일어나고 있는지를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요즘 늘어나는 신조어들 중 그러한 혐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말들이 꽤 많다. "극혐" "OO충" 등등...
요즘 우리나라에서 사는 게 많이 각박해졌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혐오관련 시위 및 범죄들이 늘어나고 있나보다 생각했는데, 이것은 비단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예전부터 있었던 범세계적인 문제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그랬다. 그들 사회에서도, 우리 사회에서도 인종, 난민, 여성, 성소수자 문제들은 항상 있어왔다.
우리만의 문제가, 갑작스럽게 등장한 문제가 아닌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혐오 문제가 개인에게서 자연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형성된 감정이라고 설명한다.
그리고 이 감정은 어떤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이며, 증상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니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것을 만들어내는 진짜 원인을 찾아내고 그것을 근절해야한다고 짚고 있다.
1부~3부에 걸쳐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1부였다. 독일에서 있었던 난민 수송 과정에서 있었던 에피소드를 들려주는데, 참으로 마음아프다.
난민들이 마을에 들어오는 것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시위를 하던 무리들 말고도, 그 모습을 지켜보던 "구경꾼"들도 결국엔 그들을 부추기고 동조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분석은 폐부를 심히 찔렀다.
방조도 동조의 일환이라는 것. 우리는 그 사실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나에게는 결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테니 상관없다는 안일한 생각도 경계해야한다. 우리 모두 한번쯤은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 서서 일상적으로 차별과 멸시를 당하는 그들의 감정에 이입해볼 필요가 있다. 그들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마음이 동한다면 지지의 소리를 내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개입하지 않는 사람들, 스스로 그렇게 행동하지는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동조적으로 용인하는 사람들 역시 증오를 가능하게 하고 확장한다. 어쩌면 폭력과 위협이라는 수단은 지지하지 않더라도, 분출된 증오가 향하는 대상을 혐오하고 경멸하는 이들이 은밀하게 묵인하지 않았다면, 증오는 결코 그렇게 힘을 발휘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사회 전체에 널리 퍼져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그들 자신은 증오하지 않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들은 증오를 방조한다. -p.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