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과 엔트로피는 처음이지? ㅣ 과학이 꼭 어려운 건 아니야 4
곽영직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21년 1월
평점 :
겨울방학 동안 다양한 분야의 책 읽기 도전 첫 번째.
<열과 엔트로피는 처음이지?>

열과 엔트로피?... 물리라고?
과학이 꼭 어려운 건 아니야 시리즈의 네 번째 책.
이번엔 열역학에 대해 다루고 있어요.
올해 6학년이 되는 저에게는 조금 어려운 책일 수도 있지만,
두 달에 가까운 겨울방학 동안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고 싶어서 선택했어요.
솔직히 처음엔 용어부터 어려웠지만, 책을 통해 새로운 걸 알게 되는 건 흥미롭잖아요.^^
익숙한 '불'에 관한 이야기가 1장부터 나와서 편하게 읽을 수 있었어요.
딱딱하고 지루할 거라는 걱정은 이때부터 사라진 것 같아요.

이 책의 핵심인 엔트로피를 가장 잘 이해하게 된 부분은 '분자 운동론적 해석' 이었어요.
5학년 과학시간에 태양계 행성들의 대기가 서로 다른 이유를 모른 체 무조건 외워야 했는데, 금성, 지구, 화성과 달리 천왕성, 해왕성은 왜 기체 행성이라고 배웠는지 이해됐어요.
여기에도 엔트로피가 적용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고요.
하지만, 우주에서 엔트로피가 최댓값이 도달하는 일은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열적 죽음 상태'라는 표현은 새로움보다는 끝으로 향하는 느낌이라 별로인 것 같아요.
과학자들의 해석은 다르겠지만요.^^
책을 읽으면서 과학시간에 했던 실험들을 떠올리며 이해하는 제 자신이 신기했어요.
1학기 때 배운 태양계, 2학기 때 배운 물체의 속력도 물리였네요.
유레카!
처음 듣는 열역학이나 통계물리학이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저도 학교에서 물리를 배우고 있었네요.
책에서 구슬이나 잉크를 예를 들어서 설명할 때는 머릿속으로 그려졌어요.
아쉬운 부분은 첫 페이지 '작가의 말'이 4~5줄의 긴 문장 길이로
작가님의 의도를 이해하기 어려웠어요.
제가 초등학생이라서 그런 건지도 모르지만요....^^;
하마터면 첫 장부터 이 책을 포기할뻔했는데 먼저 책을 읽어본 엄마가
내가 좋아하는 역사나 과학자의 스토리로 접근해 보라고 하셔서 용기를 냈어요.
<열과 엔트로피는 처음이지?> 중, 고등학교 언니, 오빠들에게 더 재미있을 거예요.
저처럼 기초지식이 없는 초등학생들에게 조금 어려운 책일 수 있지만,
도전해볼 만한 책이라고 말해주고 싶어요.
앞으로 배우게 될 물리 과목이 살짝 기대되는 책이었어요.^^
'과학이 꼭 어려운 건 아니야' 시리즈 다른 책들도 읽어보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