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미감
박선영 지음 / 모요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에 궁금했던 점은 독일의 미감이 어떻게 구현이 되었는지 작가는 왜 그런 점에 빠졌는지에 대한 생각이 있었어요. 특히 책의 뒷장에 '모던의 미학과 예술의 본질을 좇아간 여행. 그곳은 오롯이 독일이어야 했다!'라는 언급이 있어서 독일 사회의 어떤 부분이 모여 독일의 미감을 완성했을까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제목만 봤을 때에는 내용에 개론적인 내용이나 사회적 이야기 등 어려운 내용이 전개될 것처럼 느껴지지만 (그리고 하드 양장본이라.. 뭔가 더 그런 느낌이 있죠..) 생각보다 내용은 공간에 대한 설명 + 사진이 함께 있어서 이해가 쉬웠어요. 겉으론 굉장히 어려운 느낌을 주지만.. 내용은 쉬워서 약간 뽐내기도 좋은 책이 아닐까 ㅎ 싶었습니다. 

저는 저자가 독일을 왜 이렇게 사랑하는 가를 책으로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는데 그중에 제일 기억에 남는 챕터는 그로피우스의 방 챕터였어요. 



오래된 외관과 달리 안에는 현대 미술품이 전시가 되어 있다는 점이 마치 이 책 자체의 반전 매력과 좀 이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 공간이라는 개념을 넘어서서 어떤 시대의 연속성이 이어지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독일 여행 갔을 때 왜 바이마르를 갈 생각을 못 했을까 싶기도 하고요. 그래도 이 책을 읽은 덕에 다음에 독일을 가게 되면 꼭 바이마르를 들려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문뜩 한국에서도 이런 공간인 '문화역 서울'이 떠올랐어요. 옛날 서울역의 원형을 복원하여 문화 공간으로 새롭게 바꾸면서 흥미롭고 재미있는 전시들을 많이 하고 있는 곳인데, 자주 가보지는 못하지만 항상 하는 전시

들이 재미있고 오래된 역사에서 현대적인 전시가 구성이 된다는 점에서 오는 간극이 즐겁더라고요. 

마지막으로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이 분이 독일의 미감에 대한 애정을 이만큼 느끼고 책을 쓴 게 너무 대단하고 에너지가 넘쳐서 나도 이런 경험을 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단순히 무언가를 소비하고-기록하기를 넘어서서 그 배경을 이해하고-경험하고(소비)-발견하고-기록하고-공유하기 라는 경험에 좀 더 몰두해 보고 싶다는 개인적인 목표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독일의 미감이나 나라의 풍경 그리고 그 속의 미감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시는 것도 추천해요! 또 책이 굉장히 디자인적으로 깔끔하고 예쁘기 때문에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좋을 것 같다는 잡소리를 마지막으로 오늘의 후기를 마무리합니다. 


본 포스팅은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인 의견에 의해 작성이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