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3 - 최후의 노력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빌린책이 별로 맘에 안들거나,반납하고 빌리는 사이에 공백이 생겼을때 뭐 읽을게없나하고 책장을 보면 늘 몇번이나 읽었어도 재미있는 "로마인이야기"에 손이 간다.역사서가 소설만큼이나 재미있다고 느끼게 해준 책이다.아마도 시오노나나미의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에 바탕을 둔 글쓰기가 밑줄을 치며 읽게되는 이유가 아닌가 한다.물론,우리나라와 관련된 발언에서 우리의 입장에서는 서운할만한 이야기를 하여 아쉽지만,그럼에도 "로마인이야기"만큼은 인정.
최후의 노력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황제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콘스탄티누스"이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선임황제의 경호대장출신이고,발칸지방의 하층계급출신이며,군단에서 잔뼈가 굵은 군인출신 황제이다.앞선시기 수많은 황제들이 암살로 짧은시기를 마감한것과 막강한 야만족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양두체제""사두체제"를 만들어 기동성있게 대처하여 효과적으로 야만족을 막아냈으나,조직이 커지는 만큼 늘어난 군사비와 관료조직,그것을 지탱하기 위한 과도한 세금등으로 중산층이 붕괴되는 역효과도 발생하였다.일시적으로 야만족의 침입은 방어했으나 그동안 로마가 지켜왔던 큰 줄기들이 무너져가는 시기이기도 하다.본인이 세웠던 "사두체제"도 본인이 재위에서 물러나자마자 내전이 벌어져 결국 콘스탄티누스가 1인 절대군주체제로 만들어버린다.

절대군주체제로의 전환은 고귀한 혈통이 아닌,권위가 뒷받침되지 않은 상황에서 황제로 추대된 많은 전임황제들이 암살이라는 하극상으로 쉽게 자리를 잃는것을 보고 생각해낸 방법일것이다.덕분에 디오클레티아누스는 20년이상 황제자리에 있을수 있었고,더 나아가 "콘스탄티누스"는 절대자 "신"에 의해 선택받은 "황제"라는 명목을 만들어 황제의 권한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로마외에 다른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통치체제가 절대군주정이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로마가 독특했던 것이다.이집트도 "파라오"의 신정정치,중국도 "황제"라는 말이 하늘을 대신해서 나라를 다스린다는 개념이었고,늘 로마의 숙적이던 페르시아도 "절대군주정"이었다.도시국가체제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던 "그리스"만 민주정을 운영했던것에 비하면,고대시대의 패권국가였던 로마의 공화정->원수정은 대단히 독특한 제도였던듯 하다.

이런,로마의 중요한 특질들이 모두 사라지고,시대의 변화에 따른것이겠으나,로마의 몰락은 가속화 된다.심지어 "콘스탄티누스"황제를 기점으로 역사는 고대->중세로 넘어가는시기로 보고 있다.시대에 맞는 "최후의 노력"을 기울였으나 내리막길을 멈출수가 없었다. 
 

비록 나쁜 결과를 낳은 사례라 해도 그것이 시작되었을 당시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선의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