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말아요, 티베트 - 히말라야 넘어 달라이라마를 만나다 맛있는 책읽기 6
정미자 지음, 박선미 그림 / 책먹는아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군복무 시절 심심해서 읽었던 <티베트에서의 7년>을 통해서 달라이 라마를 처음으로
만났었다. 처음엔 낮선 외국인이 티베트에서의 7년동안의 삶을 보면서 흥미롭게만 느꼈
었는데 읽으면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라는 나라가 남의 일 같지 않았었다. 아마도 우리
대한민국이 일제 치하에서 살았던 슬픈현실이 결코 잊혀지지 않았기 때문은 아닐까?  그
후로 메스컴을 통해서 인도에서 머무르면서 독립운동을 하고 있는 달라이 라마를 접하면서
그네들에게도 빨리 독립이 찾아왔으면 하고 바랬던게 엊그제 같은데 세월이 참으로 많이
흘러서 달라이 라마도 이젠 할아버지가 되어 버렸다.그렇게 간간히 그의 소식을 접하다
이번에 출간된 <울지 말아요, 티베트>라는 동화책을 보면서 다시 한번 마음이 아팠다.
올림픽까지 치룬 중국이라는 거대한 나라가 아직도 이렇게 약소국에 대해서 만행을 저지
르고 잇다는 현실이 너무나 참담하다.어떻게 그들은 그러고도 세계에 떳떳하게 얼굴을
내밀고 다닐 수 잇는 것일까?
  <울지 말아요, 티베트>는 티베트본국에서 달라이 라마가 독립운동을 하고 있는 인도로
향하는 길, 그 길은 히말라야 산맥을 중국 공안을 피해서 넘어야 하는 실로 목숨을 거는
여행길인데 티베트인들과 한국의 보건이라는 아이와 그의 아버지인 다큐멘터리 감독 정진
씨가 동반하게 된다. 읽으면서도 가장 가슴아팠던 것은 그네들이 목숨을 걸고 히말라야
산맥을 넘는것도, 티베트가 중국의 말살 정책으로 인해 관광지로 전락하고 스님들도 그들
의 정책에 동화되어 버리는 것들이다. 그 중에서도 어른들도 아무런 장비도 없이 히말라
야 산맥을 넘기가 힘든데 아이들도 있다는 것이다. 중국이 싫어서 술만 먹었다 하면 중국
인들과 싸우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남겨둔채 12살 밖에 먹지 않은 텐진이 훌륭한 사람이
되어 돌아오겠다며 나선 그 여행에서 낭떠러지로 추락했을때는 그 슬픔이 이루 말할 수
없었다.어떻게 어린 아이들에게도 그런 엄청난 시련을 주는 것일까? 이 동화책은 지금의
티베트의 현실과 인도를 포함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많은 이들이 티베트의 독립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고 독립운동을 하고 있다. 과연 그네들에게도 독립이 올까하는 걱
정이 앞서기는 하지만 우리가 그랬듯 그들도 언젠가늘 독립을 실현할 수 있으리라 믿고
있는 듯했다. 티베트의 정신적인 지주인 달라이 라마를 보기 위해 많은 이들이 목숨을 걸
고 티베트를 빠저 나오고 있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기만하다. 왜 중국은 평화롭게 살던
그들을 이렇게 힘들게 만드는 것일가? 도대체 무엇을 위해 그토록 악행을 저지르고 있는
지 모르겠다. 이런 중국인들을 위해서도 기도를 올리고 있다는 달라이 라마가 존경스러울
뿐이다. 우리가 일제 치하에서 힘들게 살았을 때는 세계의 모든 나라가 이 일을 알아주고
도와 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겠지만 현재의 우리는 너무 방관자적 자세로 있는게 아닌가
생각한다. 한국 정부도 수교가 맺어있는 이상 어떤 입장도 표출할 수 없다는게 더욱 슬픈
일이다. 그래서 모든 지원은 민간차원에서만 이루어 지고 있으며 기자들도 중국의 만행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나 민간차원에서 이루어 지다 보니 더디기만 하다.
하루빨리 그들이 독립을 해서 점점 폐허로 변해가는 티베트의 건물이나 사람들을 원래상
태로 돌려놓을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