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 - 지식에서 행동을 이끄는 독서력
구본준.김미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익숙한 것을 대할때면 그것의 기원이나 의의 혹은 목적까지도 모르고 대할때가
많은것 같다. 그중에서도 책읽기 또한 그렇다. 나 역시도 이 책 '서른살 직장인 책읽기를
배우다'를 접하기 전에는 책 그냥 재미있고 지식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되니깐 읽는다라고
생각했던게 사실이다. 하지만 왜 우리가 책 읽기를 해야 하는지 , 어떻게 해야하는지,혹은
그 안에서 최고의 많은 것들을 끄집어 내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으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해
서는 결코 한번도 생각해 본적이 없다. 책이란 그냥 읽으면 된다라고 밖에 생각하지 않았
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이든 하는데 기술이 뒷받침 된다면 더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것들
을 할 수 있으며 가장 효율적으로 그 시간을 쓸 수 있게 될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책 읽기
역시 그러한 스킬이 필요함을 이 책은 말하고 있다. 더군다나 서른살이 라는 나이는 책을
읽어야만 하는 그런 중요한 시기임을 다시한번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무심코 읽었던 두권의 책을 통해 얼마나 많은 것을 얻었으며 자신의 인
생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으며 또한 현재 자신이 하고 있는 직업에 적용시킴으로서 더
발전된 자신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맞다ㅏ. 저자의 말처럼 어쩌면 인생을 바꾸는데
잇어서 결코 수천권의 책을 읽을 필요는 없을지 모른다. 단 한권의 책이 자신의 살을 더
발전시키고 이끄는 역할을 할 수도있기 때문이다. 책읽기가 익숙하지 않은 이들은 책을
읽는다는 것 자체에 큰 부담을 앉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읽다가 재미를 느끼고 나면 나
중엔 왜 내가 그동안 책을 읽지 않앗을까 하는 생각을들게도 하는것이 책을 읽는 재미다.
책을 읽는 이유는 너무나 많고 가지각색이다. 그리고 읽게 된 상황도 다들 다르다. 군대
가서 할일이 없어서 읽었을지도 모르고,조직에서 좀 더 발전된 지위에 오르고 싶기에 읽
엇을지도 모른다.혹은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반강제적으로 읽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유야 어떻든간에 책을 가까이 둘 수 있는 마음가짐만 된다면 우리는 그 속에서 무한히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읽는것은 한 사람의 인생을 사는것과 같다라는
말이 생각나다.그만큼 책이란 한 인간이 심혈을 기울여 서술했고 그 사람의 정신과 혼이
담겨있는 만큼 우리가 살지못한 세상과 경험을 그 책 한 권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2장에 보면 책읽기로 미래를 가꾸는 사람들에 보면 한 개인이 책 읽기가 자신
에게 어떠한 의미를 주는지가 설명되어있다. 커리어를 책과 함께 만들어 간다는 박지영씨
부터 책읽기 만큼은 사장님처럼 하라는 신용협, 책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백승협씨가지
그들이 책을 통해 얼마나 큰 것들을 얻고 잇으며 적용하고 있는지를 너무나 가슴 와닿게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3장 책읽기를 배워야 하는 15가지 이유에서 보면 책을 읽다보면 진
정한 자신을 발견하게 됨을 깨닫게 해준다.정말 공감가는 말이다.자신을 발견하는 것은 순
수한 사유에 의한 것도 있지만 이처럼 남의 생각을 통해서 자신을 돌아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생존-읽지 않으면 뒤처진 것이라고 한것처럼 어쩌면 독서는 단순한 취미활동이 아
니라 우리가 21세기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남에게 뒤처지지 않기위한 생존수단인지도 모른다.
아니 생존수단이 맞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보지 않은 인생과 경험을 빠른 시일내에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은 책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해 다시한번 그동안 너무나 무심히 읽었
던 책읽기를 반성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는 어떤 방법으로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를 다시한번
깨닫는 중요한 시간이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