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6
돌프 페르로엔 지음, 이옥용 옮김 / 내인생의책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의 돌프 페르로엔을 만난것은 이소설이 처음이다.
그런만큼 그의 소설은 아직 독자에겐 낯설었지만 책을 읽고난후 그는 더이상
낯선 이가 아니라 우리안에 있는 어떤 울림같은 존재일거라 생각 이된다.
그가 그런 공감을 끌었던 것은 아마도 누구나 자신의 내면에 가지고는 있으나
인식하지 못함으로 해서 알지 못했던 것들에 대한 인지에서 오는건 아닐까?
'2백년 전 악녀일기'를 처음 받아든 순간 동화책 같다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순수한 소녀의 모습이 보이고 머리에는 꽃장식을 하고 인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책은 악녀의 이야기인 것이다.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다 보면 돌프
페르로엔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우리가 그의 소설에 주목하는 것은 이책의
내용이 어떤 가상에 대한 재미를 위주로 한것이 아니라 남아메리카 북동부에
있는 수리남이라는 국가에서 실제로 있었던 사실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물론 그 시대가 현재가 아니라 500년 이상된 옛이야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수백 수천명의 흑인노예들이 피부색이 검고 미개인이라는 이유만으로 - 도대체
우리 인간은 언제부터 신으로 부터 미개인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받았단
말인가? - 노예상인들에게 잡혀서 시장에서 물건을 팔 듯 그렇게 팔려나갔고
노예를 산 백인들역시 그들을 물건처럼 다루었으며 오래되면 버리거나 기능이
안좋으면 못질을 하기도 하고 톱질을 하기도 했던 것이다. 그런 비극들을
수백년전 수리섬에 백인농장주의 딸로 태어난 마리아의 일기를 바탕으로 이책이
쓰여진 것이다. 마리아는 14살 생일선물로 꼬꼬라는 흑인소년을 선물로 받지만
어른들은 '너의 물건이다'라고 말한다.처음에는 몰랐으나 어른들이 하인들을
함부로 다루는 것을 본 마리아는 이제서야 그 물 건 들 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배우게 된다. 독자는 여기에서 악마에 대해 생각해봤다. 우리가 아는 악마는
머리에 뿔이 나있고 검은 피부를 가졌으며 사악한 웃음을 가지고 사람들을 괴롭힌다
맞다. 그건 동화속 악마일뿐이다.악마는 사람이 아니다.사람중에 악마도 있다.
사람은 악마가 될 수 도있다.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고 반성도 하고
죄책감을 가지기도 한다. 하지만 악마는 반성이라는게 있을까? 눈물한 방울도
흘리지않고 웃는 얼굴로 한 인간의 존엄성을 말살하고 학대하는게 악마가 아닐까?
아마도 저자 돌프 페르로엔도 이런얘기를 하고싶었던건 아닐까?
하지만 그의 소설 어느부분에서도 저자는 악마가 누군지, 무엇을 잘못 했는지
우리는 이런 사람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일언반구도 없다.다만
아직도 인간이라는 탈을 쓴채로 500년전처럼 악마의 역할을 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스스로 무엇을 잘못되어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자각을 할 수 있도록 일깨우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것을 아닐까? 그러한 자각과 반성은 누구의 따끔한 충고로
치유할 수 있는 병이아니라 스스로 느끼기 전에는 악마의 탈을 벗을 수 없을을
말해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