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는 나의 집에 있었다 - 흑인 그리스도인의 삶과 성경 해석, 소망 연습
이서 매컬리 지음, 백지윤 옮김 / IVP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리는 나의 집에 있었다>, 이서 매컬리, 백지윤 역, IVP.

📝이서 매컬리의 <진리는 나의 집에 있었다>는 겉으로 보면 ‘흑인 그리스도인 신앙’ 내지는 ‘흑인신학’과 관련된 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흑인신학’이라는 큰 담론보다는 한 개인의 치열한 영적 여정을 다루는 책으로 여김이 마땅해보인다. 미국 남부에서 태어난 이서 매컬리란 흑인 지성인이 무엇을 믿어야 하고, 무엇을 소망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경을 어떻게 읽어야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씨름한 흔적이 여실히 담겨있다.

📝저자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선택지가 있었다. 먼저는 노예제도를 옹호하며 흑인 차별을 조장하던 미근본주의와 대척점에 있었던 ‘진보적 학풍의 성경해석’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들은 미근본주의의 성경해석을 매우 날카롭게 비판했다. 하지만 비판의 칼날은 고스란히 자신의 어머니의 신앙, 그리고 모교회의 신앙을 향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또한 그들에게도 여전히 ‘흑인’은 주체가 아니라 객체에 불과했다. 따라서 그들의 성경해석은 논리적으로는 설득력이 있었으나 이서 매컬리의 정착지가 될 수는 없었다.

📝‘백인 중심의 복음주의 신앙’ 또한 선택할 수 있었다. 그들의 신앙은 이서 매컬리의 어머니 및 모교회가 갖고 있던 신앙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덕분에 정서적으로 친숙함을 느꼈다. 하지만 그들은 백인들의 책만 읽었고, 백인들의 논쟁에만 관심이 있었다. ‘진보적 학풍의 성경해석’에도, ‘백인 중심의 복음주의 신앙’에도 흑인이 있을 자리는 없어보였다. 따라서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 신학자의 글을 찾아나서기 시작했다. 흑인이 쓴 글에는 흑인들의 고민이 있을테니 말이다.

📝이서 매컬리는 ‘흑인 신학자’들에게서 흑인들이 겪은 고민과 삶을 마주했다. 분명 백인들의 세계와는 달랐다. 하지만 ‘흑인 신학자’들은 기껏해야 ‘진보적 학풍의 성경해석’의 아류에 가까웠다. ‘진보적 학풍의 성경해석’의 전통 안에서 흑인들의 경험을 소화하고 해석했을 따름이었다. 그들에게서도 마찬가지로 이서 매컬리의 어머니 및 모교회가 갖고 있던 신앙과의 정서적 간극을 느끼게 되었다. 그들에게 배운 것이 많음에도 그들 또한 정착지가 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저자는 ‘진보적 학풍의 성경해석’이 갖고 있던 문제의식과, ‘백인 중심의 복음주의 신앙’이 갖고 있던 복음주의 신앙의 정서적 면모와. ‘흑인 신학자’들이 갖고 있었던 흑인 특유의 경험을 조우하는 새로운 길을 모색한다. 그 길은 자신의 어머니 및 모교회의 신앙을 계승하면서도 특유의 경험들을 녹여낸다. 따라서 책 제목이 바로 이를 함축한다. ‘진리는 나의 집에 있었다’. 그는 나의 집에 있었던 진리를 고유한 경험을 버무려 새롭게 해석해낸다.

📝그의 종착지에서 만들어낸 결과물들은 놀랍다.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찰에게 진압되었던 경험, 백인의 유산인 기독교를 버려야한다는 주장과의 논쟁, 인종분리정책에서 흑인들이 겪었던 고뇌 및 씨름 등등의 고유한 경험이 녹아있다. 그러면서도 옛날 어머니와 교회에서 배운 그 신앙 또한 생생하게 살아있다.

📚각자 다양한 이유만으로 익숙했던 고향을 떠나 신앙의 정착지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그들의 여정 끝은 이서 매컬리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옛날 떠나온 그 집에 있었던 진리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응원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