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은 찾아오는게 아니라 발견하는것에 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과 일본은 왜? - 반일과 혐한의 평행선에서, 일본인 서울 특파원의 한일관계 리포트
사와다 가쓰미 지음, 정태섭 옮김 / 책과함께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일 사이에는 오래전부터 갈등이 있었다. 우리가 알고있는 역사나 과거 부분도 있고 모르는 부분도 많이 있겠지... 나는 어릴때부터 일본인 친구들도 좋고, 일본관광도 좋아했고, 일본 문화와 음식들도 좋아하는데... 한일갈등이 있을때마다 그 사이에서 어떻게 해야 될지 몰랐달까? 한일관계를 깊이있게 알고싶어했던 적은 없었던거같다. 그래서 친구들과 정치나 과거 이야기들은 암묵적으로 서로 피했던것같다.

한국과 일본은 왜? 이 책은 저자가 일본인이신데, 일본인의 시각으로 보는 한일관계에 대한 이야기라서 신선했다.

목차를 보니까 내가 잠시라도 궁금했던 부분들이 있었다.

서로의 생각을 안다고 착각하는 한국과일본

아무래도 작년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에서 시작된게 아닐까 생각한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이례없는 장기적이고 대대적인 불매운동이 일어났다. 그 전에도 광복절이나 여러번 일본에 대해 일어났던 불매운동의 이유랑은 달랐기 때문이었는데 이 부분을 읽으면서 무릎을 탁 치게됐다. 아베정권은 이같이 큰 반발이 있을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는것도...

1.한국의 주력산업이 표적이 되었기 때문에 자신의 생활에도 악영향이 있지 않을까 걱정했다.

2.한국인은 강제징용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기 떄무넹 일본의 조치는 뒤통수를 때린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3.일본이 우격다짐으로 한국을 제압하려 한다고 느꼈다.

4.촛불집회라는 성공체험과 sns에 의한 정보확산.

어느 하나가 결정타라기보다는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 80페이지

목차의 제목들처럼 한일은 양국이 서로를 잘 안다고 생각했었다. 일본은 약소국의 한국의 이미지를 간직했을 것이고, 한국은 특정 정권만 아니라면 이 갈등이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것도 달랐다. 또 잊고 있었던 부분이었는데 아직도 우리나라 지상파 티비에서는 일본 노래나 드라마가 아직도 방송되지 못한다는것도 언급되고나서 느꼈다. 일본에서는 이걸 꽤 신경쓰지만 한국에서는 인터넷 등 많은 방법으로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 왜 이렇게까지 공중파에 신경쓰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모습...


한국이 좋다는 청년과 싫다는 중장년 남성

내가 친하게 지내는 일본인들 대다수는 한국에 대해서 호의적이고 한국문화들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들의 아버지나 남편들은 한국에 대해서 크게 관심도 없었고 오히려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과거의 한국의 모습만 기억하고 한국을 아래로 보기 때문이 아닐까...


마지막 주제처럼 한국과 일본은 앞으로 부디 친하게 지냈으면 좋겠다. 책을 읽고나서 앞으로 사이좋게 지내면 더 좋은일들이 많지 않을까 생각한다. 뭔가 냉정하게 양국에 대해서 돌아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과 일본의 상호 이해가약해졌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일본 국내에서 세대에 따라한국을 보는 시각도 달라졌다. 어찌하여 이렇게 된 걸까.


이 책은 많은 일본인에게 이해되지 않는 점을 설명하고,
한일관계를 둘러싼 의문에 답하고자 한다.
- P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과치에서 나타난 특성은 선천적‘이라는 가정이 바꾸려는 노력을 차단해버렸다.
연구자의 결론은 이렇다. "남자와 여자가 한 문제에 대해 의견이다를 때, 의견이 맞고 그름에 상관없이, 의견 차이는 성적인 특성이라고 결론 내리는 경향이 많고, 이를 고질적인 것으로 본다. 따라서 상대방의 생각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상대방의 생각을 바꿀 수 있다고 낙관하지도 않는다. - P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에게 일어난 일을 ‘상처’로 남길 것인지 ‘경험’으로 남길 것인지는 내가 선택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