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야의FM(2010)> VS <세븐데이즈(2007)>

 영화를 보고 중박정도는 흥행을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심야의 FM이 관객 몰이에 성공한 것 같다. 흥행의 요인으로는 국민배우 유지태와 남자들의 로망 수애가 주연을 맡은 까닭도 있겠지만 심야의 FM은 납치 스릴러로 '세븐데이즈'를 연상시킨다. 아마도 두 영화는 끝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게 하는 스릴감은 물론, 그러한 스릴감을 조성하는 빠른 장면의 전환이나 과감하고 섬뜩한 장면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흡사한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심야의 FM보다는 '세븐데이즈'가 더 짜임새 있다고 생각한다. 
심야의 FM은 피의자-피해자-납치된 딸 이들에 이야기가 집중되어 있어 관객도 그들의 관계에만 집중하면 되기때문에 상대적으로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에 개봉한 세븐데이즈의 깊이를 따라가지는 못한 것 같아 아쉽다. 세븐데이즈는 반전의 반전으로 영화가 개봉한 초반에는 적어도 두 번은 봐야 내용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는 평이 대다수였다. 실제로 나도 두 번 보기는 했지만 사실 크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은 아니었던 것 같다. 워낙 반전이 거듭되고 '심야의FM'과는 다르게 범인이 초반부터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건이 꼬여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 세븐데이즈는 범인을 단순히 잡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 모든 사건들은 딸을 잃은 어느 여교수의 복수극의 일환일 뿐이다.



심야의 FM에서 가장 긴장감 있었던 장면은 뭐니뭐니해도 집에 들어와 이모를 살해한 동수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집안에서 숨바꼭질을 하는 장면. 따라서 관객들은 숨어 있는 아이에게 감정이입을 한다. 반면에 세븐데이즈에서의 긴장감은 범인을 잡으러 가는 과정에 있다. 그래서 심야의 FM이 고선영의 '딸'로 스릴을 조성하고 있다면, 세븐데이즈는 딸을 살릴 시간이 단 일주일 밖에 없는 '엄마'가 긴장을 만들어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심야의FM(2010)> VS <SEVEN(1995)>

영웅 심리를 가지고 비윤리적인 사회악들을 스스로 처단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한동수. 하지만 피의자인 고선영도 사실은 그와 별반 다를 것이 없다. 고선영이 한동수를 죽이는 결말이 당연했던 것은, 아니 오히려 반가웠던 것은 관객들이 선영의 편에 서있기 때문이다. 얼마전 '악마를 보았다'가 개봉하자마자 나는 그 잔인성에 치를 떨었다. 곧이어 개봉한 '아저씨'의 잔인성은 '악마를 보았다'에 비한다면 웃어 넘길 수준이라고나 할까. 그 이유는 원빈에게는 이웃집 여자아이를 구한다는 명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관객들은 오히려 더 잔인하게 죽이라고 환호했을지도 모른다.
 1995년 개봉작 'SEVEN'에는 풋풋한 시절의 브래드피트가 나온다. '심야의FM'은 'SEVEN'의 결말을 닮아있다. 단테의 신곡과 초서의 캔터베리 서사시를 근거로 사람들을 살해하는 연쇄살인마를 법으로 처단하려했지만 아내의 죽음 앞에서 이성을 잃고 살인범의 살인계획에 동참하고야 만다. '심야의 FM'에서 동수는 사회악을 자신의 손으로 처단하는 것. 그는 그것을 사회 정의라고 생각했다. 또한 자신과 같이 비범한 영웅은 법의 선을 넘어설 수 있는 '권리'를 지니고 있다고 합리화 했다. 어쩌면 자기 방어를 위해 동수를 죽이고 말았던 선영도 마찬가지의 논리로 해석될 지도 모른다. 자신의 죽음을 의도했던 영화 'SEVEN'의 살인범과는 달리 동수는 죽음보다는 영웅의 삶을 살기를 바랬을 것이다. 하지만 마지막 선영의 그 당당한 표정이 동수의 모습과 닮아있는 것은 왜일까.
 






3. 이 영화에는 유난히 '입조심하라'라는 메시지가 많이 담겨있는 듯하다. 선영은 아나운서 출신의 라디오 DJ로 소위 말빨로 먹고사는 인물이다. 그리고 그 모든 범죄는 그녀의 말에서 비롯되었다. 한편 아름다운 목소리를 가진 선영의 딸은 말을 못하는 아이로 나온다. 그래서 더욱 침착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묶여있는 동생을 몰래 풀어주는 장면에서 동생이 소리를 질러 결국은 동생을 구하지 못하는 장면은 적나라하게 닥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같다. 허허허.




4. 영화가 흥행노선을 달리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건 전개 상의 억지스러운 부분이 없지 않다. 선영이 계속해서 방송을 이어나가는 것과, 열혈 팬을 오히려 범죄자로 몰아가는 것 같은 장면들은 갈등이나 구조를 고조시키기 위한 장치였지만 글쎄, 나는 그 장면들이 아직도 어색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