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화의 섬 제주 ㅣ 천천히 읽는 책 55
박재형 지음 / 현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아이들 방학 때면 자주 제주에 간다.
올 여름에도 제주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
제주를 생각하면 푸른 바다와 오름, 걷기 좋은 올레길이 떠오른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벗어나 제주도에 머무는 재충전의 시간은 늘 소중하다.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이해 정도를 반영한 제주에 대한 지식책은 시중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체험학습이나 가족 여행으로 제주를 많이 찾다보니 제주도 여행 길잡이 형식의 책을 꾸준히 출판하는 것 같다. 그 중 『평화의 섬 제주』는 특별하다. 글을 쓰고 사진을 엮은 박재형 작가는 제주도 토박이로 초등학교 교사였고 동화작가이다. 책을 찬찬히 읽노라면 초등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어휘 하나하나 공을 들여 썼다는 생각이 든다.

글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1.아주 먼 옛날의 제주]에서는 ‘설문대할망’설화와 ‘고·양·부 삼성’설화를 소개하고 있다. ‘설문대할망’설화는 제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나타내고, ‘고·양·부 삼성’설화는 제주에 사람이 어떻게 살게 되었는지 알려준다.
제주는 ‘오름의 왕국’이라 불릴 정도로 오름이 많다. 오름의 이름 끝 음절이 산, 악, 봉, 망, 뫼(메, 미)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는 이유가 궁금했던 것을 이 책을 통해 해소할 수 있었다.
[2.제주 사람들이 살아온 이야기]에서는 제주의 역사를 담았다. 제주의 옛 이름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은 ‘탐라’이다. ‘탐’은 ‘섬’, ‘라’는 ‘나라’라는 뜻이다. 탐라국이 제주가 된 것을 고려 시대 부터라고 한다. ‘제주’는 ‘바다 건너 고을’이라는 뜻이다.
제주 여행을 하다보면 ‘바당’이라는 낱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가게 상호에도 많이 붙어 있다. ‘할망바당’은 나이 많은 해녀들이 어린 해녀들 물질을 가르치는 얕은 바다를 가리킨다는걸 알게 되었다.
그 밖에 어마어마한 양의 쌀을 기부하여 굶주린 제주 백성을 살려낸 김만덕에 얽힌 이야기, 제주로 귀양와서 추사체를 완성하고 세한도라는 유명한 그림을 그린 김정희 이야기, 해녀들의 항일 운동 등도 인상적이었다.
제주는 예로부터 평화를 보여주는 삼무(도둑, 거지, 대문이 없음)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고려, 조선 시대뿐만 아니라 4·3사건 등을 겪으며 많은 아픔이 있었지만 제주 사람들은 이를 극복하고 평화로움 섬을 만들어 냈을 것이다.
[3. 제주도의 겉모습과 속 모습]에서는 돌하르방, 돌담, 정낭, 비자나무 숲, 곶자왈, 흑우 등 제주에서만 볼 수 있는 문화를 소개하고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이 책 한 권이면 제주의 역사와 문화, 자연환경을 이해하는데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이들과 함께 읽어보며 부모님도 제주를 깊이 있고, 폭넓게 알아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