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의 현상학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사업단 학술연구총서 4
아우렐 콜나이 지음, 배리 스미스 외 엮음, 하홍규 옮김 / 한울(한울아카데미)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혐오반응은 명백한 저항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우선 가능성에 대한격렬한 거부이다. 혐오의 반응인 방출이 혐오를 유발하는 대상의 공간적 근접성에 의해 실현되는 것만은 아니다.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