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은 초면입니다만 - 궁금해? 걱정돼? 보건쌤의 시원 솔직 월경 Q&A
손정아 지음, 김현영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궁금해? 걱정돼? 보건쌤의 시원 솔직 월경Q&A

과서에는 없는 아이들의 진짜 질문과 흔한 오해, 별별 고민들이 적혀 있답니다.

작가님은 전 강남 세브란스병원 간호사.현직 보건 교솨의 생활 밀착 , 현실 공감 월경 안내서 입니다.

3달 전쯤 초경을 시작한 초6 입니다.

초경이 빨랐던 엄마인 저는 (초4) 두 딸중 첫째의 초경을 잘 준비? 해야 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답니다.

제가 초경을 할 땐 저의 엄마나 학교에서 전혀 설명을 들어 본적이 없어서 쉬를 하고 피?가 닦여서 죽을 병이 걸린줄 알고 2살 어린 동생에게 죽을 병에 걸린거 같다고 이야기한 뒤 이부자리를 깔고 누워 있던 웃지 못할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당시에는 너무 놀라고 무서웠지만 다행히? 죽을 병이 아니라서 다행이라 생각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저의 딸은 너무 놀라거나 충격을 받지 않고 함께 축하해주며 잘 준비하구 싶었답니다.

다행이 요즘 초등학교에서도 월경에 대한 교육이 들어가기 때문에 저처럼 전혀 무지한 상태는 아니였지만. 그래도 실제로 하는 것은 또 다른 차이니까요. 잘 준비해야지 하면서도

그렇게 마음을 먹으면서도 역시나 초경은 급작스럽긴 합니다. 생리대보다는 생리팬티나 면 생리대로 시작을 하고 싶어서 생리팬티는 가격대가 있고 또 이것저것 살펴보다 보니 큰아이의 생리때 준비가 안되서 허둥지둥 준비한 1인이네요.

저의 월경보다는 이제 계속 할 아이들의 월경에 대한 준비와 또 궁금했던 것들이 책에 무척 많이 나와 있어서 정말 유익했답니다.

책의 구성도 어렵거나 딱딱한 것이 아니라 실제 우리 주변에 있음직한 세 여자 아이들과 보건쌤 으로 나와서 시작은 짧은 컷툰으로 구성되고 , 궁금한 질문들과 설명이 머리에 쏙쏙 잘 들어가도록 되어있답니다.



차례만 살펴봐도 와~~나도 궁금하고 정말 사실인가 싶은 질문들이 가득해서 기대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끔 어린이들한테도 생식기관을 보여주기는 그런데 이 책에 자세히 잘 그려져 있어서 함께 이야기도 나눌 수 있어서 좋은것 같습니다.


17쪽 초경은 '처음으로 시작하는 월경'을 뜻하는 말이죠

23쪽 초경은 그저 흐르는 월경혈을 처리하는 귀찮고 번거로운 과정의 시작이 아니에요. 몸의 변화를 알리는 하나의 신호이자 성장과 성속의 증거죠. 2차 성징이 나타났다는 건 '성 호르몬'이 활발하게 나오기 시작했다는 뜻입니다. 호르몬은 우리 몸의 각 기능과 여러 활동을 조절하는 물질이에요. 성 호르몬은 생식 기관을 발달시키고 제 역할을 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뼈와 관절을 튼튼하게 해주고, 질 안쪽을 촉촉하게 만들어 주어 세균 감염을 막아주기도 해요.

위의 설명을 알고 또 해주면 힘들기만 한 것이 아니라 튼튼하고 잘 크고 있다는 과정으로도 인식되니 참 좋은 것 같습니다.

초경 시작=키 성장끝! 저도 이건 들어본적 있어서 살짝 걱정이 되긴했어요. 그런데 저도 월경은 빨랐고, 저도 키가 일찍 커버린 편이라 이 질문에대한 대답이 궁금했는데 초경 이후에도 더 자란다고 하니 너무 걱정은 노노!! 입니다.

울 큰딸도 더 커야 해!^^

30쪽 우리나라에서는 10월 20일을 초경의 날로 정해서 기념해요.

뿐만 아니라 5월 28일은 세계 월경의 날로 정해져 있죠.

초경을 맞이한 것은 마땅히 기념하고 축하받을 일이 맞답니다.

큰아이는 초경한 날 작은 케익으로 함께 기뻐해 주었답니다. 초경의 날이 있는건 처음 알았네요.

둘째때는 과자파티나 아님 좋아하는 떡볶이 먹고 예쁜 파우치(월경파우치)도 함께 사러 가봐야겠어요.

87쪽 통증척도

1은 가장 약한 통증, 10은 가장 심한 통증이에요. 월경통은 어느 정도였는지 숫자로 기록해 보세요. 그리고 따뜻한 찜질을 할 때, 간식을 먹을 때, 편하고 부드러운 옷을 입고 있을 때, 쉬고 있을 때 등 언제 통증이 잠잠해지는지 잘 관찰해 보세요.

한 번 보고 덮을 책이 아니라 두고 두고 읽어봐야 될 것 같아요.

내용도 쉽고 재미있게 적혀 있어서 두 어린이들도 재미있게 보게 되네요.

같이 이야기도 나누는 시간도 참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