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장 하나하나가 어쩜 이렇게 아름다운지 감탄을 하며 읽었다. 문장에서 떠오르는 장면들은 마치 내가 소설 안에서 바라보고 있는 듯 한 느낌을 주었다. 이렇다 할 줄거리가 없는 것이 개인적으로는 낯설었다. 하지만 설국이란 장소에서 벌어지고 보여 지는 아름다운 묘사들은 덤덤하게 이야기 같지 않은 이야기를 진행시킨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일본 특유의 정서를 상당히 강하게 느낄 수 있는데 이는 작가의 미적인 것에 대한 그리고 자연에 대한 생각이 깊다는 것이라고도 보인다.

 

이 작품의 분위기는 어딘지 모르게 현실적이지만 상당히 신비롭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는데 시마무라라는 인물부터 보자면 직업도 명확하지 않고 고마코를 바라보는 사랑인지 동정인지 방관인지 모를 태도를 보인다. 게다가 요코를 멀리서 바라보며 관찰만하는 보는 이로 하여금 정말 심심한 인물이다. 어차피 머무는 자가 아니라 떠날 자라는 설정부터 작가가 이러한 것을 의도하지 않았을까 싶다.

 

무기력하기 짝이 없는 시마무라, 서양무용을 보지도 않지만 그것에 관한 글을 쓰고 마음을 온전히 주지도 않지만 일 년에 한 번씩 고마코를 보러 찾아오는 행위, 그러면서도 고마코와는 상반된 매력의 요코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행동은 작가의 자연이나 미를 바라보는 태도나 아니면 자전적인 모습이 아닐까라는 개인적인 추측이 들기도 한다.

 

뚜렷한 갈등도 그렇다고 흥미로운 연애적인 요소도 보이지 않아서 책을 읽은 것 같지 않다는 느낌이 들었다. 한 미술작품을 감상한 기분이라고 할까? 하지만 내가 이 작품이 보여주고자 하는 바는 명확히 느끼지 못한 것 같다. 각기 다른 매력의 아름다운 여성들과 자연의 아름다움, 그리고 소설의 문체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 아마 주제는 아름다움이 아닐까? 특히 마지막 요코의 끔찍하지 않은 환상적인 죽음의 모습이 가장 크게 드러난 것 같다. 아니면 이 소설이 무엇이겠니? 라고 질문을 던져준 것 같기도 하다.

 

처음 느껴보는 소설의 형태에 내가 제정신으로 읽은 것인지 아니면 그냥 흘러 흘러 본건지 정확히 파악이 되지 않는다. 시간이 된다면 다시 한 번 정독을 해보아야 할 듯하다. 나 자신은 예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정의를 하는지 기존 생각과 다르게 또한 깊게 생각해보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