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 전7권 세트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솔출판사)
서의식 외 지음 / 솔출판사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이 책의 제목부터가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고 할 수 있다. 뿌리가 깊으면 어떤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고 샘이 깊으면 어떤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듯이 한국사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우리가 어떤 자세로 공부에 임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 넌지시 알려주고 있는 듯하다.

그렇다면 어떤 점이 뿌리가 깊고 샘이 깊은 이 책만의 특징일까?  이 책은 무엇보다도 여타 개설서나 교과서의 서술 체계와 비교했을 때 내용은 좀 빈약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사의 중요한 사건이나 주제에 대해서 정치,사회,문화,경제 부분으로 나눠서 체계적으로 쉽게 서술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서술된 내용에 대해서 다른 책들은 각주를 부분.부분달아 보충 설명을 해주는 것과 달리 이 서술과 관련된 원문사료를 한글로 제시해 주는 점이다. 사료1,사료2,사료3.....이런 식의 다양한 사료를 각 주제가 끝나는 책 부분마다 모아 두어서 제시해 준다. 그래서 독자들은 책을 읽으면서 책에서 제시해 주는 사료를 찾아서 읽고 다시 앞으로 돌아와서 책을 마저 읽어 나가는 과정을 겪는다.

이는 역사라는 것이 대체 우리에게 전달되기 까지 이러저러한 사실들이 어떠한 근거에 바탕을 두고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에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준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실제로 역사가의 사고 과정을 역체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무런 느낌과 활기가 없이 너부러져 있는 수많은 역사적 사실이 생동감있고 활기차게 살아 숨쉬면서 독자들을 즐겁게 해준다.

종이의 질도 좋고 칼라로 된 사진을 실어 놓은 점(비록 이것때문에 값이 더 나가는것 같다)도 이 책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보다 깊고 수많은 사실들을 빠짐없이 빼곡하게 서술되어 있지는 않지만,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딱딱하고 전혀 무미건조한 역사적 사실들을 생동감있게 재조직하는 역사가들만의 사고과정을 경험해 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추천해 주고 싶은 책이며, 다양한 사료를 접해보고 싶은 독자들에게도 꼭 권해 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사강좌 1 - 고대편
이기백 / 일조각 / 1990년 2월
평점 :
절판


한국사 연구의 대가라 할 수 있는 이기백 선생이 저술한 책입니다.

한국사 강좌 시리즈는 고대편이랑 근대편 두 가지 밖에 나와 있지 않지만 그 나와 있는 두 가지 중에서도 고대편이 더욱더 가치가 높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대국가의 형성과정에 대해서 정말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며 고대국가의 발전과정에 대해 체계적이고 개괄적으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역사를 전공하시는 분들이 대부분 이 책을 보게 되지만 한국사 통론, 뿌샘 등 기타 역사전공 관련 책보다도 훨씬 더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어서 그다지 연구 성과가 크게 않은 고대사 부분을 이 책 한권으로 마스터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정말 유익한 책이며 그만큼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역사를 전공하시는 분들의 필독서이며 소장가치가 높은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 - 조선전기편
한우근 외 / 일지사 / 1984년 9월
평점 :
절판


사료로 본 한국문화사 시리즈 중에서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고대편, 고려편, 조선전기편이 유용하다 할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편은 사회와 문화, 사상편에 너무 편중이 돼 있는 반면에 조선전기편은 정치,사회에 비중이 보다 높으며 정말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사료가 적절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책을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면 앞 부분의 한글로 된 서술고 해석이 나와 있으며, 뒷 부분에는 원문 사료가 실어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은 책의 서두에서 각 주제마다 개괄형식으로 서술이 돼 있어서 각 단락의 전체적인 내용과 사료의 배경지식까지 알 수 있습니다.

역사를 전공하거나 역사관련분야에 종사하시는 분들에게는 소장해둘 가치가 있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 쓴 서양사총론 2
차하순 지음 / 탐구당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를 전공하시는 분들중에 특히 서양사 공부를 할때에는 필독서로써

서양사 개론, 서양사 강의, 서양사 총론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서양사 개론은 일종의 개설서로서 잡다한 지식과 사실에 대해서 비교적 자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책입니다. 그만큼 서술이 딱딱하다고 할 수 있겠죠..그 대신 내용과 사실에 대해서 많이 알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양사 강의는 특정주제에 대해서 비교적 깊게 다룬 일종의 논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양사에 대해서 전체적인 개념과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계신분들이 보다 내용을 깊게 폭넓게 이해 하고 싶을때 읽으면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반해 이 서양사 총론은 그림이나 도표가 많이 들어갔으며 단락 주제형식으로 나뉘어서 무슨 배경, 특징, 영향 등의 항목들을 눈으로 쉽게 알 수 있게 서술 되어 있습니다.또한 다른 책들에 비해서 사회. 문화 부분이 훨씬 잘 나온 장점이 있습니다. 종이 질도 좋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 쓴 서양사총론 1
차하순 지음 / 탐구당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역사를 전공하시는 분들은 서양사 부분을 공부할때 서양사개론, 서양사 강의, 서양사 총론 이렇게 세권의 책을 보곤 합니다.

서양사 개론은 개설서로써 잡다한 지식이 많이 들어가 있는 책이며 서술도 그만큼 딱딱한 편입니다.

서양사 강의는 특정주제에 있어서 논문형식으로 쓰여진 책이라서 전체적으로 서양사를 이해하고 계신분이나 기본적인 개념이나 지식을 습득하신 분들이 깊게 폭넓게 이해하기에 적절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반해 서양사 총론은 그림이나 도표가 많이 첨부되있으며 다른 책들에 비해서 작은 소제목이나 주제로써 나눠져서 배경, 영향, 의미. 내용등을 체계적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쓰여졌으며 또한 다른 책들에 비해서 사회,문화 면이 더욱더 자세하게 서술된 게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